2010년 2월 3일 수요일

분석결과의 오류 가능성...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 대해 분석을 수행할 경우 분석지역에만 한정하여 DB를 구축하고 분석을 수행하게 됩니다. 아래 사례분석 내용을 확인하시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깊이 설명안합니다...그림으로 보세요.

공간분석기법의 Proximity Analysis(근린, 근접분석) 중 Euclidean Distance Analysis 분석이란것이 있습니다.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셀값에 계산하는 과정인데,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토지적성평가(LSA) 등에서 이 분석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아래 MAUP의 문제와 더불어 GIS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지만
 - 의도하지는 않았으나 DB 구축의 한계 또는 분석방법의 오류,
 - 사용자의 불순한 의도에 의해 결과를 조작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사례분석 예
그림(사례지역 - 임의로 데이터를 편집함)에서 붉은색 선이 분석대상지역이며 사용된 레이어는 Station, Road, Railroad, River, Lake입니다.

Study Area
Station
분석지역만을 대상으로 역과의 거리를 분석
분석지역을 벗어난 역의 거리를 적용하여 분석
Road
분석지역만을 대상으로 도로와의 거리를 분석
분석지역을 벗어난 도로와의 거리를 적용하여 분석
Lake
분석지역만을 대상으로 호수및저수지와의 거리를 분석
분석지역을 벗어난 호수및저수지와의 거리를 적용하여 분석
River
분석지역만을 대상으로 하천과의 거리를 분석, 하천이 분석지역 내 없으므로 분석결과는 없음
분석지역을 벗어난 하천과의 거리를 적용하여 분석
--> 물론 필지와 필지가 속한 시군청과의 거리계산처럼 주변지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인자들도 있습니다. 인자의 특성에 따라 이런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 이 외에도 Barrier와 관련된 문제가 있습니다. 유역/능선 등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건 추후에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지요...

▣ 토지적성평가
토지적성평가에서는 다음과 같은 거리분석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토지적성평가는 보통 시/군 단위에서 이루어집니다. 여기에서는 정확하게 어떻게 처리하는지 모르겠지만 아마도, 시군 단위의 DB를 구축해서 분석하지 않을까요?(없는 레이어는 분석인자에서 제외하겠지요...)
하천/호소/농업용 저수지와의 거리
공적규제지역과의 거리
경지정리지역과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 고속도로IC, 도로법상 지방도 이상의 도로
기개발지와의 거리 - 주거/상업/공업/도시개발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 택지개발지구, 산업단지, 농공단지 등
공공편익시설과의 거리 - 시군구청, 철도역사, 자동차터미널, 고속도로IC, 공항, 항만, 읍면사무소 등
 - 교통시설 - 고속도로IC, 여객자동차터미널, 항만, 공항, 철도역사, 지방도, 국도
 - 공공시설 - 학교, 운동장, 도서관, 시장, 읍면사무소, 시군구청
 - 기초환경 - 유통업무시설, 수도공급시설, 전기공급시설, 가스공급시설, 열 공급시설, 하수도

토지적성평가 개요

펼쳐두기..


▣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개발가능지분석모형에서 사용자가 추가하는 인문및자연환경 요인 중 거리를 분석인자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KOPSS의 경우에는 분석지역 Extent의 2배 이상을 기본분석범위로 하며, 피쳐가 포함될 때까지 확장하는 방식으로 거리분석을 수행하여 이런 오류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참고
지리학이나 공간통계학에서는 이와 비슷한 문제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MAUP;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가 있습니다.

이는 연구의 공간단위 선택은 작위적일 수 있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선택된 공간단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MAUP의 문제는 다음 문헌을 참고하세요...

이상일, 1999, 기능지역의 설정과 공간단위 수정가능성(MAUP)의 문제, 지리환경 교육학회지, 7(2), 757-783.
신정엽, 2005, 상이한 공간 스케일 효과와 유의한 작동 스케일(operational scale)에 대한 경험적 탐색 연구: 미국 도시 중심지와 인구간 상관관계를 사례분석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2), 1~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