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S(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 및 주제도의 Primary Key에 대한 설명입니다. ▣ 토지코드(19자리) - 지적도 및 개별공시지가(토지특성) 테이블 등 필지의 Unique ID - 지적도(연속/편집)에서는 PNU, 개별공시지가(토지특성)에서는 LAND_CD 등의 필드 이름으로 사용 - 필드 구성 : 시도(2)+시군구(3)+읍면동(3)+리(2)+필지구분(1)+본번(4)+부번(4) - 참고설명 : 필지구분: 1(일반), 2(산) ▣ 용도지역지구관리코드(33자리) - 각종 용도지역지구(KLIS에서 LT_*로 시작하는 주제도)주제도의 Unique ID - MNUM이라는 33자리의 필드로 사용 - 필드 구성 : 지정권자(7) + 시도코드(2) + 시군구코드(3) + 고시년도(4) + 고시번호(4) + 용도지역지구코드(6) + 도면표시번호본번(4) + 도면표시번호부번(3) ▣ 참고: KLIS 레이어의 일반적인 구성 - KLIS의 GIS 레이어는 크게 지적도(LP*), 주제도(LT*), 지형도(LB*)로 구성 - LP = LMIS Parcel, LT = LMIS Thematic, LB = LMIS Base Layer를 의미 - Geometry 유형은 폴리곤(A-Area), 라인(L-Line), 포인트(P-Point), 주기(T-Text)로 구분 - 지형도 관련 레이어 : LB10_*, LB50_*로 시작하는 레이어 : LB10_BT_NAME(1:1,000 지형도의 건물레이어 중 주기, BT = Building Text) : LB50_RL_ROAD(1:5,000 지형도의 도로레이어 중 도로경계, RL = Road Line) : LB50_BA_BLDG (1:5,000 지형도의 건물레이어 중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