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31일 수요일

Spatial DBMS 및 Spatial Engine 모음

Spatial Data Type을 지원하는 DBMS 및 Spatial Engine들입니다.

빠진 제품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1. Commercial Spatial DBMS
국내 Commercial DBMS
- 리얼타임테크 (RealTimeTech) - Kairos Spatial
- 알티베이스 - ALTIBASE Spatial
- 지오매니아(GEOMania) - GMS 4G
- 리지시스(Reegy Sys) - ZEUS
- 티맥스소프트(TmaxSoft) - Tibero

해외 Commercial DBMS
- Oracle Spatial | Oracle Database
- Microsoft SQL Server
- IBM DB2 Spatial Extender
- IBM Informix Spatial DataBlade
- Sybase SQL AnyWhere

▣ Free and Open Source Spatial DBMS
- PostgreSQL - PostGIS
- MySQL - Spatial Extensions + MySQL Korea
- SpatiaLite - SQLite Spatial extension

2.
Spatial Engine(SE)
일반적으로 Spatial Engine(공간 미들웨어라고도 함)은 이기종 DBMS를 지원하며, DBMS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내 Commercial SE
- 엘비에스플러스(LBSPLUS) - Gnis Spatial Engine(GSE)
- 지노시스템(G-Inno Systems) - GeoGate

해외 Commercial SE
- ESRI ArcGIS Server - ArcSDE + 선도소프트(SundoSoft)

3.
GIS(Spatial + Web) Server
Enterprise급에서부터 일반 Web Mapping Server까지 포함했습니다. 분류가 쉽지가 않습니다.

국내 Commercial GIS Server
- 엘비에스플러스(LBSPLUS) - Gnis Server
- 지노시스템(G-Inno Systems) - GeoGate
- 한국공간정보통신(KSIC) - IntraMap

- 지오매니아(GEOMania) GMS 4G

해외 Commercial GIS Server
- ESRI ArcGIS Server + 선도소프트(SundoSoft)
- MapInfo SpatialWare + 삼성오피스컴퓨터


▣ Free and Open Source GIS Server
- GeoServer
- MapServer
- deegree
- MapGuide

4. 사례
Microsoft SQL Server 사례
Microsoft SQL Server 2008 및 SQL Azure에서 공간 데이터 관리

※ 그림
출처 : Spatial Ed

Microsoft SQL Server / SQL Azure

2010년 3월 30일 화요일

[GIS]국가GIS 교육센터 소개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국가 GIS 교육센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GIS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나 이미 접하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1. 소개
국가 GIS 교육센터는 공간정보 전문인력 양상사업의 일환으로 국토해양부의 지원을 받아
국토연구원의 GIS 중앙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GIS 교육사이트입니다.

또한, GIS 교육 거점대학, 공간정보분야 특성화대학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공간정보 전문인력양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운영조직

공간정보분야 특성화대학원
  - 경북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인하대학교

GIS교육 거점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일대학교, 교원대학교, 대구과학대학, 동강대학교, 목포대학교,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 전남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3. 온라인 강좌
온라인 강좌는 이론, 정책, 실습, 신기술, 활용사례, 기타로 구분됩니다.

사이트 가입을 하면 온라인 강좌는 모두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이론
GIS:  GIS 개론 -> 수치지도의 이해 -> 지도와 좌표계 -> GIS 공간모델링, 수치지도제작, 지하시설물도 제작, GIS 공간분석(초급) -> GIS 공간분석(중급), 지리정보 검수, GIS 표준(초급) -> GIS 표준(중급), 공간철학과 GIS
RS:  원격탐사(초급) -> 원격탐사(중급)
측량:  사진측량, 수치사진측량, 공간위치결정론, GPS 개념 및 활용
기타:  DB 이용관리

정책
GIS:  1, 2차 국가GIS 기본계획, 제3차 국가GIS 기본계획

실습
GIS:  ArcGIS(초급) -> ArcGIS(중급), ZEUS, GRASS(초급) -> GRASS(중급), GeoMania/EasyMap, ArcSDE, GeoDataBase
RS:  PG STEAMER, ERDAS, IRHIS
측량:  GPS 측정 및 데이터 처리
기타:  VIsual Basic, C++

신기술
GIS:  3D GIS(초급) -> 3D GIS(중급),  Mobile GIS, 4s-Van, Internet GIS, Ubi-GIS, Enterprise GIS
기타:  ITS(초급) -> ITS(중급), LBS, 모바일매핑시스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활용사례
GIS:  LMIS, UIS,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SDW, 도로관리시스템, 서울시 GIS, 지반정보시스템, 토지적성평가, 환경지리정보
RS: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타
중등교사를 위한 GIS:  중고등학생을 위한 탐구학습, 고1 사회교과서 8종, 고등학생을 위한 GIS 교육, GIS를 활용한 중등교육
GIS 국제세미나:  사이버국토 구축과 전자정부 발전방안, GIS기반 방재국토 구현전략, 시공자재 기술현황 및 전망

4. 오프라인 강좌
오프라인 강좌는 GIS 교육 거점대학에서 연간 교육일정에 의해 수행되며, 각 대학별로 기초, 공무원, 중등교사, 응용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기타
그 외에도 GIS교재 및 실습프로그램, 샘플 데이터셋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6. 국가 GIS 교육센터

2010년 3월 29일 월요일

[OGC]표준을 따른다는 것

요즘 국가지리정보나 민간에서 OGC 표준에 기반한 서비스 및 응용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가만히 지켜보고 있으면 OGC 표준 웹 서비스와 Open API 등과 혼용하여 각자 나름대로 판단하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고 안타깝다...

오늘의 핵심 내용은 아래 기사와 유사하다.
껍데기만 바꾼다고 되는 건 아니다. 다음의 기사를 한번 보도록 하자
안 철수 "디자인·UI 베낀다고 아이폰 못 따라가"
 -
디자인을 베끼거나 UI를 비슷하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표준을 준수한다는 의미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표준 프로파일링에 대한 개념

표준화(Standardization)
실질적이거나 잠재적인 문제에 관하여 최적의 목적달성을 위해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규범적 표현(provision)을 구축하는 활동이며 이러한 활동은 주로 표준을 이슈화하고 구현하고 형식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표준(Standard)
표준화의 주체 및 참여기구로부터 합의되고(consensus) 승인된 문서로서 커뮤니티의 목적을 최대로 달성함을 목표로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활동과 결과에 대한 규칙, 가이드라인, 특징 등을 제공하며 표준화 적용 커뮤니티의 최대의 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과학과 기술 및 경험의 통합된 결과에 기초하여야 한다.

기반표준
 프로파일을 구성하고 생성하기 위해 원천자료(source)가 되는 표준이며 지리정보분야에서는 ISO의 TC211에서 개발중인 19100 시리즈 표준문서와 OGC의 Abstract  Specification과 Implementation Specification으로 국가표준개발을 위한 기반표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프로파일
 특정 커뮤니티의 특정 기능을 위해 필요한 모듈과 인자(parameter), 선택사양(optional)을 규정한 하나 이상의 기반표준 또는 ISP의 선택적 집합으로 참조가 되는 기반표준이 있어야 한다.

ISP(International Standardized Profile)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기술하는 국제적으로 동의되고 조화된 문서이며, ISO에서 승인된 표준문서에 기반하여 호환성(conformance) 수준에 적합한 프로파일로서 ISO에서 관리한다.

ISO에서 정의한 프로파일의 특성
- 프로파일은 목적 달성을 우해 필요한 만큼 기반표준에 정의된 선택사양을 제한하거나 프로파일의 선택사양으로 유지할 수 있다.
- 프로파일은 참조하는 기반표준에 호환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거나 반하는 요구사항은 규정할 수 없다.
- 프로파일은 참조하는 기반표준의 범우보다 한정되고 구체적인 호환성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 즉, 프로파일에 호환된다면 해당 프로파일이 참조하는 기반표준의 집합과도 호환성이 보장됨을 의미한다.

원문출처 : 박종민, 오세웅, 서상현. 2002. 프로파일링에 의한 지리정보표준 개발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권 4호. pp.56-64.


OpenGIS Web Coverage Service (WCS) - Processing Extension (WCPS)

다음은 OGC WCS의 확장판인 WCPS의 ProcessCoverages Operation에 대한 규약이다.

WCPS는 WCS의 3가지 Operation(GetCapabilities, DescribeCoverage, GetCoverage) 외에 이 Operation을 제공해야 한다.


출처: OGC, 2009, Web Coverage Service (WCS)-ProcessCoverages Extension, OGC 08-059r3, p.8.


Web Feature Service 역시 GetFeature Operation의 outputFormat 파라미터에 대해 살펴보자. Web Feature Servi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1.1.0 기준, p.34, 38 등)에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outputFormat은 Optional 파라미터로서 기본값은 [text/xml; subtype=gml/3.1.1.]이다. 다른 포맷이 사용 가능하며, 이는 GetCapabilities에서 정의한다 라고 되어 있다.

The format of the response to a GetFeature request is controlled by the outputFormat attribute.
The default value for the outputFormat attribute shall be the MIME type text/xml; subtype=gml/3.1.1.


OUTPUTFORMAT
The output format to use for the response. text/xml; subtype=gml/3.1.1 must be supported. Other output formats are possible as well as long as their MIME type is advertised in the capabilities document.

따라서 이는 GML 3.1.1을 기본값으로 지원하고 다른 포맷으로도 제공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GML 외에도 많이 사용하는 GeoRSS, GeoJSON, KML 등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기본 GML 요청 예
http://www.someserver.com/wfs_service&SERVICE=WFS&VERSION=1.1.0&
REQUEST=GetFeature&

TYPENAME=uk:Town&

PROPERTYNAME=uk:Town/gml:name,uk:Town/gml:directedNode&
OUTPUTFORMAT=text/xml; subtype=gml/3.1.1(명시하지 않아도 됨)

GeoJSON을 요청하는 예 확장
http://www.someserver.com/wfs_service&SERVICE=WFS&VERSION=1.1.0&
REQUEST=GetFeature&

TYPENAME=uk:Town&

PROPERTYNAME=uk:Town/gml:name,uk:Town/gml:directedNode&
OUTPUTFORMAT=application/json; subtype=geojson/1.0.0(반드시 명시해야 함)

출처: OGC, 2005, Web Feature Servi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04-094

이 기사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아래 기사를 한번 보세요...

기존 국가공간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합하고 국가공간정보 유통망을 통해 Open API 방식으로 국가(지적, 수치지도, 각종 주제도 등) 및 민간 공간정보(POI, 주제도, 내비게이션, 맛집, 학술연구지도 등)를 서비스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내용입니다.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체계 역시 행정중심이긴 하지만 사업목표가 유사합니다.

의도는 알겠으나 기사대로 아래 4. 외국사례를 잘 벤치마킹 해서 진행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모두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 표준 웹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공유, 대시민, 민간참여를 가능케 하는 기본이라는 것을...

여기에 오신 분들은 반드시 아래 외국 사례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지난해 감사원의 권고에 따라 6개월간 서울대 등 전문기관에 의뢰한 용역결과를 토대로 현재 서울, 부산, 제주 등 9개 지역별로 분산·운영중인 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도록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Open API를 활용하여 자료제공 방식을 다양화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도 도입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계획이다.

그리고 민간에서 만든 공간정보도 국가유통망을 통하여 유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방할 방침이며, 공간정보의 무상제공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관련기관과 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다.

 중략.......

또한 구글, MS 등 외국 대형 포털의 공간정보 서비스와 경쟁이 가능하여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도 예상된다.

중략....

첨부파일 :

100327(조 간) 공간정보 유통망(국가공간정보센터).hwp 
100327(붙 임) 공간정보 서비스.ppt

 

 국토해양부가 ‘한국판 구글 어스’를 만든다는 목표로 민간에 공간정보를 대대적으로 제공하는 등 공간정보 유통 체계를 전면 혁신한다.

28일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공간정보 유통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ce) 방식을 도입한다. API를 개방해 개발자들이 이를 활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단순히 정보를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원과의 융합도 도모한다. 예를 들면 주요 포털 사이트는 국토부의 공간정보를 자사의 관련 서비스와 융합한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서비스할 수 있다.

중략...

민간에 지리정보유통망 시스템도 개방한다. 민간기업은 직접 제작한 맛집정보·내비게이션 지도·항공사진 등 공간정보를 정부 유통망을 활용해 판매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중략....

실제로 미국은 지오데이터(geodata : 아마 여기를 얘기하는 것 같다...)를 캐나다는 지오커넥션즈(GeoConnections)를 유럽은 인스파이어(Inspire)를와 같은 포털 서비스를 마련 공공과 민간이 자유롭게 공간정보에 접근케 해 구글어스와 같은 서비스 창출의 토대를 지원한다.

중략...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

 
3. 국가공간정보유통망 서비스 개념도(출처: 위 공간정보서비스.ppt  3페이지)

펼쳐두기..


4. 외국 사례

GeoConnections

펼쳐두기..


Inspire Geoportal

펼쳐두기..


GOS - Geospatial One Stop

펼쳐두기..



[참고]소프트웨어사업대가의 기준(2009 ~ 2011)

제안시즌이 오면 항상 찾게 되는 것!

2009년부터 현재까지 적용될 소프트웨어 사업대가의 기준 및 SW 기술자 노임단가입니다.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소프트웨어사업대가의 기준


▣ 2011년도 적용 SW기술자 노임단가 공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6조(SW기술자의 등급별 노임단가)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기준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기술자 일 노임단가를 통계법 제23조에 의거 다음과 같이 공표합니다.

구 분
2011
노임단가
전년대비
조사인원
2009년도
2010년도
2011년도
증가액
기술사
313
356,999
358,777
369,995
11,218
특급기술자
9,736
314,773
333,226
340,973
7,747
고급기술자
8,266
228,833
239,085
251,772
12,687
중급기술자
10,305
190,248
188,139
208,943
20,804
초급기술자
14,932
141,761
146,620
162,862
16,242
고급기능사
420
126,106
140,918
138,613
-2,305
중급기능사
640
109,777
110,637
107,288
-3,349
초급기능사
530
86,961
90,599
93,127
2,528
자료입력원
758
67,032
69,680
76,887
7,207

* 본 2011년 노임단가는 인원가중평균치임.
* 상기결과는 일급여기준이며, 기본급여+제수당+상여금 등을 모두 포함한 결과임.
* 자료입력원 노임단가의 기본급여는 2010년 58,795원, 2011년 65,685원으로 조사됨.
* 2011년의 월평균 근무일수는 21.5일로 조사됨.
* SW기술자 공인노임단가는 2010년 대비 평균 5.5% 증가함.
<시행일> 2011년 9월 1일부터

▣ 2010년도 적용 SW기술자 노임단가 공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6조(SW기술자의 등급별 노임단가)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기준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기술자 일 노임단가를 통계법 제23조에 의거 다음과 같이 공표합니다.

(단위: 명, 원)
구 분
2010년
조사인원
노임단가
전년대비증가액
2008년도
2009년도
2010년도
기술사
319
339,988
356,999
358,777
1,778
특급기술자
9,760
300,570
314,773
333,226
18,453
고급기술자
8,071
225,306
228,833
239,085
10,252
중급기술자
9,198
187,566
190,248
188,139
-2,109
초급기술자
11,714
140,198
141,761
146,620
4,859
고급기능사
578
116,845
126,106
140,918
14,812
중급기능사
895
101,158
109,777
110,637
860
초급기능사
990
80,993
86,961
90,599
3,638
자료입력원
1,065
-
67,032
69,680
2,648

* 본 2010년 노임단가는 인원가중평균치임.
* 상기결과는 일급여기준이며, 기본급여+제수당+상여금 등을 모두 포함한 결과임.
* 자료입력원 노임단가의 기본급여는 2009년 48,493원, 2010년 58,795원으로 조사됨.
* 2010년의 월평균 근무일수는 전년도와 동일한 21.6일로 조사됨.
* SW기술자 공인노임단가는 2009년 대비 평균 5.9% 증가함.
* 시행일: 2010년 9월 1일부터

2009년도 적용 SW기술자 노임단가 공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6조(SW기술자의 등급별 노임단가)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기준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기술자 일 노임단가를 통계법 제23조에 의거 다음과 같이 공표합니다.

※ 2009년 SW기술자 등급별 일 노임단가 (단위:명,원,%)

구 분
2009년
조사인원
일 노임단가
전년대비
2007년도
2008년도
2009년도
증가액
증가율
기술사
231
290,938
339,988
356,999
17,011
5.0%
특급기술자
6,734
273,664
300,570
314,773
14,203
4.7%
고급기술자
5,990
215,166
225,306
228,833
3,527
1.6%
중급기술자
5,378
174,432
187,566
190,248
2,682
1.4%
초급기술자
8,254
136,290
140,198
141,761
1,563
1.1%
고급기능사
1,763
112,910
116,845
126,106
9,261
7.9%
중급기능사
1,549
99,834
101,158
109,777
8,619
8.5%
초급기능사
1,143
75,128
80,993
86,961
5,968
7.4%
자료입력원
1,108


48,493



• 2009년 조사결과는 3σ적용후 산출한 인원가중평균치임.
• 자료입력원의 노임단가는 2009년 최초 조사로서 ‘기본급여’만을 산정한 수치이며, 기본급여+제수당+상여금을 모두 포함할 경우의 노임단가는 67,032원임.
• 노임단가는 일 급여 기준이며, 2009년의 월평균 근무일수는 21.6일임.
• SW기술자 공인노임단가는 2008년 대비 평균 0.84% 증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