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Open Source인 게시물 표시

FOSS4G Korea 2022 공식 프로그램 안내

이미지
  안녕하세요. OSGeo Korean Chapter 의 연례 행사이자 대한민국 오픈소스 GIS 관련 최대 축제인  FOSS4G Korea 2022  행사를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기술교류 박람회인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 와 함께합니다.   ■ 행사 일정     - 기술 워크숍: 2022년 11월 3일(목) 13:00 ~ 17:00     - 메인 컨퍼런스(구두발표) 및 연례총회: 2022년 11월 4일(금) 10:30 ~ 17:30 ■ 장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KINTEX 제1전시장 컨퍼런스룸 212호   ■ 참가 등록     -  컨퍼런스, 뒷풀이 참가자 등록과 등록비용 납부 방법       ※ 워크숍 + 컨퍼런스(기념품 증정) 등록과 11월 4일 뒷풀이(현장 3만원) 등록으로 구분     ※ 후원기관은 플래티넘 3인, 골드레벨 2인, 실버레벨 1인에 대해 워크숍 1세션 및 본 행사 참가비 면제   ■ 프로그램 ⊙ 워크숍 데이 기술 워크숍은 세션 1 4시간(13:0...

[FOSS4G Korea 2021]Workshop-누구나 알고 있는 QGIS 숨겨진 기능

 워크숍 1: 누구나 알고 있는 QGIS 숨겨진 기능과 QGIS 사용자 모임 - QGIS의 숨어 있는 팁과 자주 마주하는 문제점들 공유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from MinPa Lee

[QGIS] Proximity (Raster Distance) Analysis Processing Script

이미지
QGIS에서 Proximity (Raster Distance)분석을 수행하려면 일반적으로 다음의 두 단계를 실행해야 하며, 특히 GDAL 파라미터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Extent나 Cell Size 설정이 번거롭습니다.  - [Raster] -> [Conversion] -> [Rasterize(Vector to raster)]  - [Raster] -> [Analysis] -> [Proximity(Raster distance)]  - 참고사이트 : https://infogeoblog.wordpress.com/2013/11/28/qgis-distance-calculator/ 여기에는 QGIS Procesing Framework 내의 사용자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UI로 구성해 봤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GitHub에는 이 외에도 10여가지의 다양한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참고 바랍니다. □ Script Source  - GitHub □ Usage  - QGIS Procesing Framework 활성화  - 다운로드 또는 복사한 소스를 [Scripts] -> [Tools] -> [Add script from file] 또는 [Create new script]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  - 레이어 추가 후 [Scripts] -> [My Scripts] 도구의 [Raster Euclidean Distance Analysis] 도구 실행 □ Script UI □ Raster Proximity(Euclidean Distance) Map

[제2회 오픈소스GIS솔루션데이] 오픈소스 공간통계분석 패키지 개발 발표자료

2015년 2월 26일 열린 [제2회 오픈소스GIS솔루션데이] 행사 발표자료 공유합니다. 오픈소스 공간통계분석 패키지 개발 from Minpa Lee

FOSS4G Korea 2013 망고시스템 발표자료

FOSS4G Korea 2013 망고시스템(김기웅, 임영현) 발표자료! Java기반의 오픈소스 GIS(GeoServer, uDig)를 지원하는 국내 공간DBMS 드라이버 개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2013년 공개SW 개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국내 공간 DBMS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GIS(GeoServer, uDig)드라이버 개발  GeoTools, GeoServer에서 Altibase, Tibero, Kairos 공간 DBMS를 지원하고 NGI 파일을 다양한 포맷으로 변환도 가능하게 되었죠!

[Desktop GIS] Why Open Source GIS?

이미지
Desktop GIS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왜 Open Source GIS가 좋은가? ▣ 운영체제로부터  자유롭다.  - Windows 외 Linux, Mac 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 QGIS: download  - uDig:  download  - GRASS GIS: download  - gvSIG: download  - 기타: OSGeo ▣ 글로벌 환경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지역화 작업 등 협업을 통해 발전해 간다  - 문서화가 안되어 있다. 한글 지원이 잘 안된다 등은 이제 옛말이 됨  - 프로그램 UI 지역화   : ex) QGIS, uDig, GeoServer 한글화  - 매뉴얼 번역: QGIS 매뉴얼 번역 및 서적 출간   : ex) Quantum GIS(QGIS) 1.7.x 버젼 한국어 매뉴얼 PDF 버젼 ▣ OGC 등 표준을 기본으로 지원하며,비 표준이더라도 인기 있는 포맷이나 기능은 상용보다 빨리 지원한다.  - OGC 표준의 테스트 베드 주도: GeoAPI, GeoTools, 52 North ...  - OGC WMS/WFS/WMTS 등 표준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를  지원  - WFS 서비스를 통해서 직접 편집도 가능 GeoServer의 WMS 연결 ▣ 소스 코드가 공개되므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필요한 기능을 직접 만들고 배포도 가능하다  - 스크립트, 플러그인 등을 만들 수 있는 기반 마련  - QGIS Plugins Repository  - uDig Community ▣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및 활용 사례가 공유된다  - John Snow’s famous cholera analysis data in modern GIS formats  -...

GXT Toolbox for uDig 플러그인 소개

이미지
오늘은 저희가 실험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uDig 플러그인(GXT Toolbox for uDig)을 소개할까 합니다. uDig 은 Java 로 만들어진 Eclipse Rich Client Platform (RCP) 기반의 Open Source(EPL , BSD ) 데스크탑 GIS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접근, 편집, 시각화를 위한 Java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세종대학교 및 서울특별시가 공동연구로 메뉴 한글화 및 일부 매뉴얼 한글화를 진행했으며, uDig은 Spatial Toolbox View 라고 알려진 분석기능이 탑재된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저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 상업용 GXT Engine의 분석기능을 uDig 응용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 봤습니다. 약 200여가지 분석 기능들(주로 GeoServer와 WPS 연동) 중 데스크탑 환경의 UI로 구성할 수 있는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만 일단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능 소개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앞으로 계속 지원해 볼까 합니다. ▣ 소개 및 매뉴얼  - GXT Toolbox for uDig ▣ 주요기능  - uDig Spatial Toolbox 와 같은 분석 트리 구조로 구성  - 프로세스의 Input/Output 파라미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UI 자동 구성        - 분석결과가 Feature 또는 Raster일 경우 자동으로 지도에 추가  - 필수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제목 왼쪽에 녹색 아이콘이 표시  - Help 탭에서 파라미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제약사항  - 분석 결과의 저장은 Shapefile 또는 GeoTiff만 지원   - 좌표체계가 없는 레이어의 경우는 지도 좌표체계를 사용  - 이 플러그인은 실험단계이므로 버그가 있을 수...

[GeoServer] Disabling Layer Preview & Demos Page

이미지
 질문: GeoServer 사용 중 Production 환경에서 Layer Preview 및 Demos 페이지를 노출하고 싶지 않을 경우.  해결:  - GeoServer 설치폴더 아래 webapps\geoserver\WEB-INF\lib 폴더로 이동하여  web-demo-x.x.x.jar 를 삭제.  - Demos 페이지는 *.jar를 삭제하더라고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음.

GeoTools와 GeoServer를 이용한 KOPSS Open API의 구현

2011년 10월 28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FOSS4G Korea 2011년 발표자료입니다.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MinPa Lee

[Tips]PostGIS - Shapefile and DBF Loader

이미지
PostgreSQL(+ PostGIS)를 사용할 때 Shapefile 및 좌표체계와 관련된 팁입니다. 우선 pgAdmin III 도구를 실행한 후 다음과 같이 shapefile을 업로드합니다. ▣ PostGIS Shapefile and DBF Loader SRID는 이미 알고 있는 경우는 그 코드를 입력하면 되고, EPSG 코드를 모르는 경우  http://spatialreference.org/  사이트를 참고하여 정확한 코드를 확인 후 입력하면 됩니다.  가장 정확하게는 PostGIS의 spatial_ref_sys 테이블을 열고 확인합니다. ▣ DBF file character encoding : EUC-KR 또는 CP949 입력 Shapefile and DBF Loader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한글속성이 포함된 shapefile의 경우 character encoding 설정에 유의해야합니다. Import 버튼을 누르면 PostGIS로 변환됩니다. ▣ 좌표체계의 정의 다음은. 만약 원본 shapefile의 좌표체계가 정의되지 않았을 경우 좌표체계를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geometry_columns 테이블을 열어보면 좌표체계가가 정의되지 않은 레이어는 다음과 같이 srid 값이 -1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두 SQL문을 Query Tool을 이용하여 입력 후 실행하면 좌표체계를 정의의할 수 있습니다.  -  UPDATE geometry_columns SET srid = 2097 WHERE f_table_name = 'polyline';  -  UPDATE polyline SET the_geom = ST_SetSRID(the_geom, 2097); 위 그림과 같이  enforce_srid_the_geom constraint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 절차를 통해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 C...

GeoScript

이미지
아주 흥미로운 사이트입니다. GeoTools 와 JTS 를 기본 엔진으로 사용하고 있네요.. ▣ GeoScript - GeoScript adds geo capabilities to dynamic scripting languages such as JavaScript, Python, Scala and Groovy. ▣ GeoScript Main Site - http://geoscript.org ▣ Blog  - http://geoscriptblog.blogspot.com/ ▣ Geometry plotting 예 <이미지 링크: http://img.skitch.com/20100622-en416rwwegpuutnig1ine2s2ka.jpg>

SpatiaLite 개요 및 사용

이미지
PostgreSQL 에 PostGIS 가 있다면 SQLite 에는 SpatiaLite 가 있습니다. PostGIS와 마찬가지로 Geometry Engine은 GEOS(3.2.0), 좌표변환은 PROJ.4(4.7.0)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ostGIS보다 경량이면서 속도면에서는 빠르군요.. PostGIS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 같네요 . 단, PG와는 Spatial Function 이름들이 약간씩 다릅니다.(ST_가 없으나 2.4버전 이후로는 OGC ST_ 이름을 지원합니다). 라이센서는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다릅니다. ▣ SpatiaLite 공식 사이트  - http://www.gaia-gis.it/spatialite/  - 2010년 6월 30일 현재 버전 2.4.0 ▣ 주요 기능  *  SQLite is a popular DBMS, simple, robust, easy to use and really lightweight   * each SQLite database is simply a file; you can freely copy it, compress it, send it on a LAN or WEB with no complication at all  They are also portables; the same database file will work on Windows, Linux, MacOs etc  * the SpatiaLite extension enables SQLite to support spatial data too [aka GEOMETRY], in a way conformant to OpenGis specifications    o supports standard WKT and WKB formats    o implements SQL spatial functions such as AsText(), Geom...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의 목록 및 기능을 잘 정리해 둔 사이트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곳인듯 합니다. 사이트는 여기.. An Overview of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FOS-GIS)

SQLite 개요 및 사용

이미지
SQLite는 단일 파일 기반이면서 SQL92를 지원하는 경량의 DB ▣ SQLite 공식사이트  - http://www.sqlite.org  - 버전 : 2010년 6월 30일 현재 3.6.23.1 ▣ Features Of SQLite  * Transactions are atomic, consistent, isolated, and durable ( ACID ) even after system crashes and power failures.   * Zero-configuration - no setup or administration needed.  * Implements most of SQL92. (Features not supported)  * A complete database is stored in a single cross-platform disk file.  * Supports terabyte-sized databases and gigabyte-sized strings and blobs. (See limits.html.)  * Small code footprint: less than 300KiB fully configured or less than 180KiB with optional features omitted.  * Faster than popular client/server database engines for most common operations.  * Simple, easy to use API.  * Written in ANSI-C. TCL bindings included. Bindings for dozens of other languages available separately.  * Well-commented source code with 100% branch test coverage.  * Available...

GeoExt 0.7 릴리스

이미지
오랜만에 GeoExt 0.7 버전이 릴리스되었습니다. GeoExt 는 ExtJS 와 OpenLayers 에 기반한 Java Script Web Mapping Toolkit이며, 추가 및 개선된 기능은 다음 블로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GeoExt 0.7은 ExtJS 2.2, OpenLayers 2.9 버전을 기준으로 합니다. http://geoext.blogspot.com/2010/05/geoext-release-07.html ※ GeoExt Example

JTS Topology Suite - Geometry Engine

이미지
현 Java 기반 Open Source GIS에서 거의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Geometry Engine은 JTS( JTS Topology Suite - Java API for geometric operations)입니다. JTS는 C++ 포팅버전인 GEOS(Geometry Engine - Open Source) , .NET C# 버전 NTS(Net Topology Suite) 의 전신이기도 합니다. 현재(2010년 3월 1일 기준) 1.11 버전이 Release되어 있으며 다음의 URL에서 최신버전이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JTS Topology Suite  - Tsusiat Software  - Martin Davis's Blog  : Lin.ear th.inking  - VIVID Solutions 특히 Martin Davis의 Blog Title이 정말 멋집니다... Lin.ear th.inking - Becaus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wo thoughts is a straight line ▣ JTS를 활용하는 Open Source GIS 및 JTS의 위상 <그림출처: http://www.osgeo.org/files/tyler/images/siglibre_foss_sig_relacion.png>

QGIS 1.4.0 Enceladus 출시

이미지
2009년 9월 QGIS 1.3.0 'Mimas' 버전이 출시된지 4개월만에 QGIS 1.4.0 'Enceladus' 버전(2010-01-10)이 출시 되었습니다. Quantum GIS (QGIS) 는 GNU General Public License를 사용하는  Open Sour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esktop 프로그램입니다. Linux, Unix, Mac OSX, and Windows 모두 호환되며, Vector(Shapfile 등), Raster(GeoTiff 등), and Database(PostGIS 등) format을 지원합니다. Plugin Manager를 통해 GPS Track 등도 지원하며 GDAL, PROJ, GEOS 등 Open Source Library를 사용합니다. ▣ 1.4.0 새로운 기능: http://blog.qgis.org/node/142  - New Symbology Infrastructure  - Field Calculator  - Print Composer  - User interface improvements  - Render caching  - Custom SVG search paths  - Specify CRS when creating new shapefile  - Customizable attribute forms  - 그 외 80여가지 이상 패치 ▣ Quantum GIS에 대한 한글 소개자료나 매뉴얼은 이곳을 참고하세요... Quantum GIS 소개 : http://endofcap.tistory.com/258 Quantum GIS 따라하기 : http://endofcap.tistory.com/search/QuantumGIS Thematic map Layer Property Dialog Composer Query Builder ...

[OGC WPS]PyWPS(Python Web Processing Service)

이미지
OGC ® Web Processing Service 스펙은 Web Service를 통해 상호운영이 가능한 지리공간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국토부와 국토연구원에서 진행중인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도 WPS를 기본 분석 프레임워크로 하여 연구/개발이 진행중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 블로그에도 소개하고 있으며, 관심있으신 분들은 탐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에서는 WPS를 구현한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OpenSource 중심)들 중 웹상에서 직접 접근이 가능한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세번째: PyWPS(Python Web Processing Service) 1.1. Overview PyWPS(Python Web Processing Service)는 OGC WPS 표준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프로그램이다.  2006년 5월 DBU 의 지원으로 시작되었고 2009년 현재 HS-RS 가 지원하고 있다. 이는 익명(public)에서 접근가능한 자신만의 프로세스(Geofunction 또는 모델)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PyWPS의 주요 장점은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Native GRASS GIS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데 있다. 또한 PyWPS는 Python 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라이센스는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을 채택하고 있다. 1.2. Get latest Source code ▣ Use subversion:  : https://svn.wald.intevation.org/svn/pywps/trunk 1.3. Getting PyWPS PyWPS Homepage(http://pywpsl.wald.intevation.org)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리눅스에서 배포(DEB and RPM)가능한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1.4. How it works PyWPS는 클라이언트( Web Browser, Desktop GIS, command ...

[OGC WPS]52N Web Processing Service

OGC ® Web Processing Service 스펙은 Web Service를 통해 상호운영이 가능한 지리공간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국토부와 국토연구원에서 진행중인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도 WPS를 기본 분석 프레임워크로 하여 연구/개발이 진행중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 블로그에도 소개하고 있으며, 관심있으신 분들은 탐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에서는 WPS를 구현한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OpenSource 중심)들 중 웹상에서 직접 접근이 가능한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두번째: 52n Web Processing Service 1.1.    Overview 52N Web Processing Service는 웹에서 표준화된 방식으로 geo-process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스와 데이터 인코딩을 위해 플러그기반(pluggable)의 개발을 제공하며, 최근의 OGC Spec을 기반으로 한다. 52n WPS의 목적은 웹에서 일반적인 알고리즘들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있다. 라이센스는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을 채용하고 있다. 1.2.    주요 특징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펼쳐두기.. ▣ General Features and Compliance o 완전한 java 기반 Open Source 구현. o W PS specification version 1.0.0 Operation 모두 구현 o Pluggable framework for algorithms and XML data handling and processing frameworks o Build up on robust libraries ( JTS , Geotools , xmlBeans, servlet API, derby ) o Supports full logging of service activity   - Sup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