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TIN인 게시물 표시

[ArcGIS]포인트 레이어에 TIN Elevation, Slope, Aspect 값 계산

이미지
포인트 레이어의 필드에 TIN의 Elevation, Slope, Aspect값을 계산하는 VBA 스크립트 예입니다.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레이어와 사용자가 수집한 포인트 레이어가 있을 경우 각  포인트 위치의 Elevation, Slope, Aspect값을 필드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전제사항 - ArcMap에 포인트 레이어 및 TIN 레이어가 추가되어 있을 것 - 포인트 레이어는 Shapefile, Personal GDB(mdb), File GDB일 것 - 스크립트 실행 조건은 편집 상태가 아닐것(Update Cursor를 사용하기 때문임) ▣ 결과 - 포인트 레이어에 Elevation, Slope, Aspect 필드(Double형)가 생성되고, 각 필드에 TIN으로부터 추출한 값이 계산 ▣ 주요 인터페이스  -  ITinLayer,    ITinSurface2, ITinSurfaceElement Interface를 사용 ▣ 전체 소스코드 첨부 - TINValueCalculator.bas ▣ 계산결과 예시

TIN 및 Terrain 마지막회

이미지
TIN이나 Terrain 데이터 생성에 관하여 3시간에 걸쳐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TIN이나 Terrain 데이터 및 래스터 변환시 빠트리기 쉬운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해당 연구지역의 TIN이나 Terrain 데이터셋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1. 오목지역도 존재한다. 보통 수치지도로부터 TIN 생성시 1:5,000 축척에서 레이어 코드 7111 또는 7114를 그냥 사용하는데 다음의 경우에는 오목지역을 포함하므로 빠트리지 말아야 한다. ▣ 석회암지역의 카르스트 지형(돌리네, 우발라 등) 남한의 경우 문경, 단양, 제천, 영월, 평창, 정선, 삼척, 명주, 강릉 등의 지역 ▣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펀치볼(Punch Bowl) 해안분지 등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및 산굼부리 등 화산지형 ▣ 기타 인공/자연 오목지형 ▣ 1:5,000 수치지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볼록지와 오목지를 구분하고 있다. 7110    (볼록지)미분류               7111   주곡선            갈    선 7112   간곡선            갈    선 7113   조곡선            갈    선 7114   계곡선            먹    선 7120   (오목지)미분류               7121   ...

TIN 및 Terrain의 생성 및 관리

이미지
오랜만에 PDF 파일로 작성된 문서를 샘플데이터와 함께 첨부합니다. 지난 시간에 2차에 걸쳐 TIN 및 Terrain 구축과 관련된 지침 및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은 지침 및 고려사항 등을 바탕으로 다음의 과정을 실습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ArcGIS에서 Terrain을 생성/관리하고 래스터로 변환  - TIN을 생성하고 DEM/Slope/Aspect Raster를 추출 TIN 또는 DEM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정의하거나 데이터 소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Terrain 및 DEM의 목적(시각화, 수문분석, 지형분석, 일반 분석용 등)이나 데이터 특성 및 수집내용(등고선, 표고점, 하천, 호수 및 저수지, 도로, 인공지형지물 등)에 따라 구축 견해가 다를 수 있음을 밝혀 둡니다. 첨부된 Shapefile은 노이즈가 추가된 샘플데이터입니다. ▣ 목차 펼쳐두기.. 1.    Introduction    4 1.1.    An overview of terrain datasets    4 1.2.    What is a terrain dataset?    5 2.    Terrain Dataset의 생성 및 관리    7 2.1.    Create File Geodatabase    7 2.2.    Create Feature Dataset    7 2.3.    Import Feature Classes    12 2.4.    Check 3D Analyst Extension    13 2.5.    Create Terrain Dataset    14  -...

TIN 또는 Terrain 데이터 생성 고려사항

이미지
수치표고자료(DEM)을 구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TIN을 구축 후 래스터(DEM)로 변환한다. 지난 시간에 이어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기로 한다. ArcGIS의 경우 TIN을 구축하여 래스터로 변환할 수도 있지만 GeoDatabase(File GeoDatabase, SDE 등)를 사용할 경우 Terrain 데이터셋을 사용하면 데이터 편집 및 유지관리에 있어 효율적이다. 1. 들어가기 전에 Terrain 데이터셋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Multi-Resolution TIN이다. Terrain 데이터셋은 지오데이터베이스 내의 피쳐로 저장된 측정데이터로부터 구축, 관리된다.  - 지오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셋 저장구조  -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TIN 데이터 구조 사용  - 다중 해상도를 표현하기 위해 피라미드를 사용  -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차에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구축관점에서 TIN 및 Terrain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2. Surface feature type (SFType) 피쳐클래스(Feature Class)는 Terrain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소스를 제공한다. Terrain 데이터셋 설계시 각각의 데이터 소스( 피쳐 클래스) 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역할을 Surface Feature Type(SFType)이라 부른다. 여기에는 Mass Points, Breaklines, Polygon 유형이 있다. Breaklines 과 Polygon 은 Hard 및 Soft 조건이 있다. Soft는 지형을 완만(smoothly)하게, Hard는 급격하게(discontinuity) 표현한다. 포인트와 멀티포인트 피쳐클래스는 Mass Points로 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라인과 폴리곤은 다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Breaklines   - Clip polygons   - Erase polyg...

수치표고자료(DEM)의 개념 및 구축지침

이미지
GIS 관련 카페나 커뮤니티를 보면 GIS 분야에서 등고선을 이용하여 TIN을 구축하고 DEM을 추출하여 여러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TIN 구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GIS 툴이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며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몇 차에 걸쳐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살펴볼까 한다. 여기에서는 첫번째로 3차원 지형 시각화의 기초가 되는 수치표고자료에 대한 개념 및 수치표고자료 구축을 위해 기본적으로 참고해야 할 국내 규정 등을 알아보기로 하자. 특히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자료를 필히 확인하고, 수치지도의 레이어도 한번씩 살펴보자. 등고선 TIN Edge TIN Visualization DEM Hillshade Slope Aspect ① 수치표고자료의 개념 ▣ DEM(Digital Elevation Models)  수치표고모형은 수치 지형 또는 수심측량 데이터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로써 DEM(Digital Elevation Models)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DEM은 식생과 인공지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형만의 표고값을 의미하며, 강/호수의 DEM 높이값은 수표면을 나타낸다. ▣ DTM(Digital Terrain Model)  DE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며, DEM과 비슷하지만 지형을 좀더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간격을 갖는 불연속선(breakline)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르다. DTM의 최종적인 결과는 특정 지형을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며, 등고선은 지형의 실제 형태에 가깝도록 DTM으로부터 생성하곤 한다. ▣ DSM(Digital Surface Model)  DSM 은 DEM, DT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지표면의 표고값이 아니라 인공지물(건물 등)과 지형지물(식생 등)의 표고 값을 나타내며 원거리통신관리, 산림관리, 3D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