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uDig인 게시물 표시

[FOSS4G Korea 2017] uDig GIS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FOSS4G Korea 2017] uDig GIS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from MinPa Lee

[제86회 Open Technet] OGC 표준 기반의 공간자료 분석과 시각화 기술 개발 발표자료

nipa 공개SW역량프라자 주관 [2016년 10월 19일] 제86회 Open Technet, 공간정보 공개SW 기술 세미나 에서 발표한 [OGC 표준 기반의 공간자료 분석과 시각화 기술 개발] 발표자료입니다. [제86회 Open Technet]OGC 표준 기반의 공간자료 분석과 시각화 기술 개발 from MinPa Lee

[제2회 오픈소스GIS솔루션데이] 오픈소스 공간통계분석 패키지 개발 발표자료

2015년 2월 26일 열린 [제2회 오픈소스GIS솔루션데이] 행사 발표자료 공유합니다. 오픈소스 공간통계분석 패키지 개발 from Minpa Lee

Wind Rose Map using GXT, uDig GIS

이미지
[uDig] Create Wind Rose Map using Geotools, uDig 얼마전 MapPlus님의 QGIS RingMap 스크립트를 보고 저희 회사 분석 엔진인 GXT에 RingMap을 개발해서 배포했습니다. 그런데 MapPlus님이 저에게 살짝 Wind Rose Map을 보여주더군요. djWjfkrh!! ▣ Reference  -  biz-gis  : http://www.biz-gis.com/index.php?document_srl=107186&mid=GIS_Essay  -  http://nebraskawindandsolar.com/green-info/wind-rose/    ▣ uDig Plugin 저장소  - http://www.mangosystem.com:8080/gxt_updates ▣ Sample Dataset  - Dataset : https://www.dropbox.com/s/u95exijhoxgb2is/sample_data.zip ▣ Usage  - uDig 실행 -> Window -> Show View -> GXT Toolbox 선택 - 다운로드한 샘플 데이터중 서울시 은행,아파트 포인트 데이터를 새로운 지도에 추가   (WindRose의 경우 도선관,백화점 위치와 해당 기관의 사용자 위치등을 분석하여 그 방향성과 사용자의 수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는게 원칙이나 데이터를 구하기가 힘들어 레이어의 센터점으로 잡아 분석함) - GXT Toolbox에서 Vector Analysis > General > Wind Rose 선택 Input Vector Layer : 분석 대상이되는 Point Layer를 선택 Field to apply the weight(선택) : 필수 입력값은 아니지만 갯수에 가중치를 ...

우리 동네 OpenStreetMap 편집하기

이미지
OpenStreetMap(OSM) 웹 페이지의 iD 편집기 활용법도 배우고 내가 살고 있는 지역들에 대한 지도 개선을 위해 주요 랜드마크들을 추가해 봤습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간선도로, 주요도로, 보조도로는 거의 완성된 듯 합니다. OSM Korea Community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주요 편집 대상은 주거지역(아파트 단지 및 아파트건물), 공원(공원 내 시설물 및 보도), 학교(지역 및 건물), 주요 상업건물 등입니다. ▣ 1차 목표  - 주거지역 내 OpenStreetMap 편집에 대한 가이드 작성 - 추후 포스팅 계획  - 내가 살고 있는 서울시 구로구 전역에 대한 편집!  - FOSS4G 2015 개최를 위한 후보지인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일대! ▣ 편집 지역 예  - 서울시 구로구 일대:  http://www.openstreetmap.org/#map=16/37.5051/126.8527  -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 일대:  http://www.openstreetmap.org/#map=16/33.2456/126.4156 ▣ 주요 지도 범례 ▣ OpenStreetMap 페이지 미리보기  - 2013년 11월 말  - 2013년 12월 7일 현재 ▣ iD 편집기  - 사용하기 쉬운 브라우저용 지도 편집기  - 지도 편집 및 저장 후 5분 이내에 지도에 반영됨  ▣ MapBox 지도의 갱신  - OSM에서 지도 편집이 완료된 후 약 20분 이내에 MapBox Streets 등에 반영됨 ▣ uDig에서 OpenStreetMap 활용  - [Layer] -> [Add...] -> Web Map Tiles (OpenStreetMap, MapQuest Maps, ..) 데이터소스 클릭  - 다음 그림과 같이 Op...

uDig에서 Web Map Tiles Services 레이어를 Zoom Level에 맞게 보기

이미지
uDig에서 Web Map Tiles Service(WMTS) 레이어를 uDig에 추가하고 줌 레벨로 보는 방법입니다. uDig은 이를 위해 Zoom Level Switcher 뷰를 제공합니다. ▣ 우선 WMTS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 uDig은 [Layer] --> [Add...] --> [Web Map Tiles (OpenStreetMap, MapQuest Maps ...] 기능을 통해 다양한 타일맵 지도를 배경 지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이 블로그의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MapBox Maps in uDig GIS  - uDig은 사용자가 임의로 자유롭게 축척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미 만들어진 타일 지도의 축척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됩니다.   ▣  Zoom Level Switcher 뷰 활성화  - 아래 그림과 같이 [Window] --> [Show View] --> [Other...] 메뉴를 실행합니다.  - Show View 다이얼로그에서 마지막의 [Zoom Level Switcher] 뷰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누릅니다. ▣  MapBox 지도를 줌 레벨 11로 선택한 모습  - 이제 아래 그림과 같이  [Zoom Level Switcher] 뷰가 표시됩니다.  - 여기에서는 MapBox Streets 레이어를 WMTS 레이어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MapBox Streets 레이어를 선택하고 + 또는 - 버튼을 눌러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해 봅니다.  - 그러면 앞의 지도에 비해 텍스트가 깔끔하게 표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타일 크기와 일치하는 지도 축척이 설정된 것입니다. ▣  기타 WMTS 레이어 확인  -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VWorld 배경지도를 WMTS 레이어로 추가하고 ...

[Ubuntu] uDig에서 GXT Toolbox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

이미지
OS : Ubuntu 12.04.2 uDig : 1.4.0b ▣ 증상  uDig에서 추가/설치를 통해 [GXT Toolbox]를 성공적으로 설치하여, Toolbox의 트리목록은 생성되나 개별 기능을 더블클릭했을 경우 아무런 반응이 없을 경우. ▣ 원인 > 참조 URL http://udig.refractions.net/files/docs/latest/user/Running%20uDig.html#info-and-help-require-a-pure-mozilla-browser-udig-698-linux-mozilla-five-home-required-for-information-tool > Internal or Embedded Browser uDig 에서는 Info View, Web Catalog, 도구상자의 help와 같은 페이지를 팝업창에 보여줄때 "Web Browser"를 사용하여 보여줍니다. Window 에서는 해당 페이지를 Explorer를 통해 보여주는 것과 같이 Linux 에서는 기본적으로 Mozilla Browser를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 Linux 플랫폼의 Eclipse는 기본적으로 Mozilla 브라우저를 사용하게끔 되어 있지만 최근 Linux 배포판(Ubuntu 12.04 포함)에서는 Firefox 처럼 Custom된 브라우저를 탑재하여 배포되기 때문에 uDig 에서는 이러한 Browser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 결론적으로.. uDig이 Linux의 Internal or Embedded Browser를 인식하지 못해서 정보 페이지를 보여줄수 있는 Browser를 찾지 못해 Java의 SWT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툴박스의 창이 열리지 않는 것입니다. ▣ 해결방법 > 1. http://udig.refractions.net 에서는 "Mozilla"를 설치. > 2. 다음과 같이 "libwebkitgtk-1.0-0"을 설치합...

MapBox Maps in uDig GIS

이미지
uDig의 Web Map Tiles 데이터 소스는 미리 정의된 OpenStreetMap, NASA World 타일 지도 외에 사용자 정의 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는 uDig에서 MapBox 지도를 추가하는 과정입니다. ▣ uDig Version  - http://udig.refractions.net/  - 테스트 버전: 1.4.0 ▣ MapBox  - http://www.mapbox.com/ ▣ uDig에서 MapBox 지도 보기  - [Layer] --> [Add...] 메뉴 실행  - [Add Data] 창의 Data Sources 에서 Web Map Tiles(OpenStreetMap, MapQuest Maps, ...) 선택 후 [Next] 버튼 클릭  - OpenStreetMap 트리에서 Custom Server 선택  - 오른쪽 URL에 다음을 입력   1. Streets   Map : http://a.tiles.mapbox.com/v3/tmcw.map-7s15q36b/{z}/{x}/{y}.png   2. Satellite Map : http://a.tiles.mapbox.com/v3/tmcw.map-j5fsp01s/{z}/{x}/{y}.png  - 위에서 a는 b, c, d 로 대체 가능,  v3/tmcw.map-7s15q36b 항목은 지도 버전  - [Next] 버튼 눌러 지도에 레이어를 추가 ▣ MapBox Streets Map 예 ▣ MapBox Satellite Map 예

[Lifelog] Density Map of Foursquare Check-ins

이미지
▣  FourSquare log  - 2010년 5월부터 2013년 7월까지 3년 2개월 사용  - 약 4700 번의 체크인 기록. ▣ Density Map 1 ▣ Density Map 2 ▣ Tag  - uDig,  GXT Toolbox 의 Kernel Density  - VWorld basemap

[GeoTools Data Store] 국내 공간 DBMS 및 파일 포맷 지원

이미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에서 진행하는 공개 소프트웨어(SW) 지원 사업인 ’2013년 공개 SW 개발 지원사업’ 의 자유과제 부분에 지원한 망고시스템의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GIS(GeoServer, uDig)를 지원하는 국내 공간 DBMS 드라이버의 개발’ 과제가 선정되었습니다. ▣ NIPA의 ‘공개SW 개발 지원사업’은 최신 공개SW 기술을 이용하여 공개SW 개발 및 확대를 위한 사업으로 기업, 개인 사업자, 대학 등에 공개SW 개발 프로젝트와 커뮤니티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이제 2010년 개인적으로 개발했던 다음의 내용을 기초로 GeoTools 모든 버전을 계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FOSS4G]Altibase Spatial JdbcDataStore for GeoTools, GeoServer  - Spatial Data를 지원하는 국산 DBMS GeoTools용 JdbcDataStore 확장 ▣ 개발 내용 Java 기반의 오픈소스 GIS(GeoTools, GeoServer, uDig GIS)에서 사용가능한 국내 공간 DBMS 및 파일포맷 드라이버 지원 ○ 1차년도 GeoTools Data Store를 확장  - Altibase Spatial  - Tibero Spatial  - Kairos Spatial  - 국토지리정보원 NGI 포맷 ○ 2차년도 uDig Data Store를 확장(계획)  - Altibase Spatial  - Tibero Spatial  - Kairos Spatial  - 국토지리정보원 NGI 포맷 ▣ Source Code Repository  - SourceForge ( https://sourceforge.net/p/gt-jdbc-korean/ )  - GitHub ( https://www.github.co...

[Desktop GIS] Why Open Source GIS?

이미지
Desktop GIS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왜 Open Source GIS가 좋은가? ▣ 운영체제로부터  자유롭다.  - Windows 외 Linux, Mac 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 QGIS: download  - uDig:  download  - GRASS GIS: download  - gvSIG: download  - 기타: OSGeo ▣ 글로벌 환경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지역화 작업 등 협업을 통해 발전해 간다  - 문서화가 안되어 있다. 한글 지원이 잘 안된다 등은 이제 옛말이 됨  - 프로그램 UI 지역화   : ex) QGIS, uDig, GeoServer 한글화  - 매뉴얼 번역: QGIS 매뉴얼 번역 및 서적 출간   : ex) Quantum GIS(QGIS) 1.7.x 버젼 한국어 매뉴얼 PDF 버젼 ▣ OGC 등 표준을 기본으로 지원하며,비 표준이더라도 인기 있는 포맷이나 기능은 상용보다 빨리 지원한다.  - OGC 표준의 테스트 베드 주도: GeoAPI, GeoTools, 52 North ...  - OGC WMS/WFS/WMTS 등 표준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를  지원  - WFS 서비스를 통해서 직접 편집도 가능 GeoServer의 WMS 연결 ▣ 소스 코드가 공개되므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필요한 기능을 직접 만들고 배포도 가능하다  - 스크립트, 플러그인 등을 만들 수 있는 기반 마련  - QGIS Plugins Repository  - uDig Community ▣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및 활용 사례가 공유된다  - John Snow’s famous cholera analysis data in modern GIS formats  -...

GXT Toolbox for uDig 플러그인 소개

이미지
오늘은 저희가 실험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uDig 플러그인(GXT Toolbox for uDig)을 소개할까 합니다. uDig 은 Java 로 만들어진 Eclipse Rich Client Platform (RCP) 기반의 Open Source(EPL , BSD ) 데스크탑 GIS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접근, 편집, 시각화를 위한 Java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세종대학교 및 서울특별시가 공동연구로 메뉴 한글화 및 일부 매뉴얼 한글화를 진행했으며, uDig은 Spatial Toolbox View 라고 알려진 분석기능이 탑재된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저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 상업용 GXT Engine의 분석기능을 uDig 응용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 봤습니다. 약 200여가지 분석 기능들(주로 GeoServer와 WPS 연동) 중 데스크탑 환경의 UI로 구성할 수 있는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만 일단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능 소개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앞으로 계속 지원해 볼까 합니다. ▣ 소개 및 매뉴얼  - GXT Toolbox for uDig ▣ 주요기능  - uDig Spatial Toolbox 와 같은 분석 트리 구조로 구성  - 프로세스의 Input/Output 파라미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UI 자동 구성        - 분석결과가 Feature 또는 Raster일 경우 자동으로 지도에 추가  - 필수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제목 왼쪽에 녹색 아이콘이 표시  - Help 탭에서 파라미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제약사항  - 분석 결과의 저장은 Shapefile 또는 GeoTiff만 지원   - 좌표체계가 없는 레이어의 경우는 지도 좌표체계를 사용  - 이 플러그인은 실험단계이므로 버그가 있을 수...

[uDig] Locale & Character Set Support for Korean

이미지
uDig에서 한글 문제 해결을 위한 팁 ▣ 메뉴 영문/한글 변경 ※ 영문 : Windows -> Preferences 메뉴를 실행 후 General -> Runtime preferences 탭으로 이동하여 Locale for user interface를 ko 로 선택 후 탭 중간의 Restart with the above settings 버튼을 실행하여 재시작 ※ 한글 : 창 -> 환경설정 실행 후 일반 -> Runtime preferences 탭으로 이동하여 Locale for user interface를 ko 로 선택 후 탭 중간의 Restart with the above settings 버튼을 실행하여 재시작 ※ 이 외에도 Runtime preferences 탭에서는 자바 힙 메모리를 설정하거나 기본 Workspace(환경설정, 프로젝트, 지도 레이어 정보 등이 저장되는 작업공간)를 변경할 수 도 있음. ▣ Shapefile 등 데이터 소스의 인코딩 문제 ※ 영문 : Windows -> Preferences 메뉴를 실행 후 General -> uDig UI 탭에서 Default Character Set을 x-windows-949 로 설정 후 재시작 ※ 한글 : 창 -> 환경설정 실행 후 일반 -> uDig UI 탭에서 디폴트 케렉터 셋트를 x-windows-949 로 설정 후 재시작 ※ 만약 파일 데이터 소스의 경우 한글이 깨진 경우 카탈로그 뷰에서 모두 제거 후 케렉터셋 설정하고 다시 불러오면 됨 ▣ Ubuntu 12.04 LTS 버전에서 shapefile을 불러온 모습

Polar Grids 만들기

이미지
▣ Polar Grids 만들기 - 프로그램  - GXT Online:  GXT Toolbox for uDig ▣ Polar Grid from Geometry ▣ Polar Grid from Geometry 다음 화면은 위 그림에서 3번째 polar grids를 생성하는 옵션이다.  - Number of sides가 8 이므로 360/8 = 45도 간격으로 생성.  - Radius 옵션은 100미터 간격으로 1km까지 즉 10개의 링을 구성.  - Radius 옵션에 1000 과 같은 단일 값을 입력하면 위 그림에서 1번째 polar grids를 생성. - Radial Type이 BASE 이면 위 그림에서 2번째 polar grids를 생성.  - Number of sides가 16이면 위 그림에서 4번째 polar grids를 생성. ▣ Polar Grid from FeatureCollection 다음 화면은 레이어(FeatureCollection)로부터 polar grids를 생성하는 옵션이다. 레이어(FeatureCollection)로부터 polar grids를 생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활용 사례  - 생성 후 Point In Polygon(Spatial Join) 분석 등을 이용하여 포인트의 패턴 분석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저소득층의 이주패턴 및 정착방안 연구 ▣ 참고  - GIS - Stack Exchange:  Polar grids in ArcGIS  - 임은선 외. 2009.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저소득층의 이주패턴 및 정착방안 연구.  경기:  국토연구원

[uDig] Altibase Catalog Plugin 확장

이미지
◎  uDig 에 GeoTools용 Altibase DataStore를 이용한 Catalog 플러그인   ○ 테스트환경 : uDig 1.3.2 + GeoTools 8.x + Altibase 5.5.1.0.3   ○ 사용법 레이어 메뉴의 [추가...]메뉴를 실행 후 Altibase 데이터베이스 선택 서버 접속을 위한 연결정보 입력 또는 기존연결 선택 지도에 추가할 레이어 선택 후 완료 지도에 레이어 추가, 카탈로그 등록, 테이블 속성 확인 등 ◎ 향후 일정   ○ 파일 기반의 GeoTools DataStore들의 uDig Catalog 플러그인 제작   ○ 국토지리정보원 NGI Ascii Format DataStore uDig에서 국토지리정보원 NGI 데이터셋 배치 변환   ○ ESRI Personal Geodatabase(9.x, 10.x 지원) DataStore uDig에서 ESRI Personal Geodatabase의 배치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