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4일 목요일

TIN 및 Terrain 마지막회

TIN이나 Terrain 데이터 생성에 관하여 3시간에 걸쳐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TIN이나 Terrain 데이터 및 래스터 변환시 빠트리기 쉬운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해당 연구지역의 TIN이나 Terrain 데이터셋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1. 오목지역도 존재한다.
보통 수치지도로부터 TIN 생성시 1:5,000 축척에서 레이어 코드 7111 또는 7114를 그냥 사용하는데 다음의 경우에는 오목지역을 포함하므로 빠트리지 말아야 한다.

석회암지역의 카르스트 지형(돌리네, 우발라 등)
남한의 경우 문경, 단양, 제천, 영월, 평창, 정선, 삼척, 명주, 강릉 등의 지역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펀치볼(Punch Bowl) 해안분지 등
양구군 해안면 펀치볼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및 산굼부리 등 화산지형

기타 인공/자연 오목지형

1:5,000 수치지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볼록지와 오목지를 구분하고 있다.
7110    (볼록지)미분류              
7111   주곡선            갈    선
7112   간곡선            갈    선
7113   조곡선            갈    선
7114   계곡선            먹    선

7120   (오목지)미분류              
7121   주곡선            갈    선
7122   간곡선            갈    선
7123   조곡선            갈    선
7124   계곡선            먹    선

2. Raster로 변환할 때 Floating vs Integer Raster

일반적으로 등고선 간격이 넓거나 평야지역 등에서는 샘플데이터의 부족으로 TIN이나 DEM의 왜곡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특히 Integer 래스터로 변환할 경우 평탄하거나 저구릉지는 계단상의 지형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므로 연구지역의 특성이나 연구목적에 맞게 래스터 픽셀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3. 등고선 등 BreakLine 처리시 버텍스 균등분할

등고선 등의 버텍스 간격이 넓을 경우 다음과 같이 일정 간격마다 버텍스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등고선을 일정 간격으로 버텍스 삽입하는 도구 예
삽입한 버텍스 비교

4. 기타 참고문헌

김남신. 2009. 미기복 지형 표현을 위한 DEM 개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64-72.
고광현, 구자영. 1998. 닫혀진 단일 등고선 내부점의 보간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4(2): 129-136.
김만규, 박종철. 2008. 수치표고모형(DEM)의 해상도가 물리 결정 일괄 매개변수 수문모형의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51-165.
김병선, 구자용. 2005.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내륙습지 관리권역 설정. 한국GIS학회지 13(2): 167-183.
박찬수, 이성규, 서용철. 2007.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자동 생성 기법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113-122.
성동권, 조기성. 2002. BurnDEM을 이용한 유역및 하도망 추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22(2-D): 293-301.
위광재, 조재명, 이임평, 강인구. 2007. LiDAR데이터를 이용한 등고선 제작의 효율성 평가.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2):59-66.
정인규, 김성준. 2003. 효과적인 유역 및 하도망 추출을 위한 DEM 전처리 방법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23(4-D):393-400.
조성민. 1998. GRASS 와 Arc / Info 를 이용한 DEM 데이터의 정확도와 에러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