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의 게시물 표시

[FOSS4G Korea 2014] Making Base Maps with Open Data

이미지
2014년 7월 26 ~ 27일간 열린 [FOSS4G Korea 2014] 행사 발표자료입니다. [FOSS4G Korea 2014] Making Base Maps with Open Data from Minpa Lee 1. FOSS4G Korea 2014 기념사진 2. Stephen Vincent Mather 님이 찍어주신 발표 사진 3.행사때 도움주신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자원봉사단과 함께, 너무 감사합니다!

FOSS4G Korea 2014 행사 프로그램 안내

이미지
OSGeo 한국어 지부에서 개최하고 한국오픈소스GIS포럼에서 주관하는 FOSS4G Korea 2014 행사 프로그램이 확정되어, 안내 포스터가 나왔습니다. 주변에 많은 홍보와 참여 부탁 드립니다.^^ 작 년에 이서 올해도 8월 26일 ~ 27일 코엑스 327호에서 이틀동안 진행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올해에는 PostGIS의 핵심개발자이자 PostGIS Cookbook의 저자인 Steven Mather님께서 기술 워크샾과 강연을 해주실 예정입니다. 주변 분들에게 많은 홍보 부탁 드립니다.(자세한 프로그램은 아래 이미지 혹은 첨부된 이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포럼 사업비로 번역되고 인쇄되는 QGIS Training Manual 한국어 번역본을 구경(?)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는 티셔츠, 물병, 부채, DVD등 다양한 기념품들을 준비중입니다.  온오프믹스에도 올렸으나 홍보하실 때 사용해주시면 될 듯 합니다.(http://onoffmix.com/event/32102) 이런 좋은 행사를 진행할 수 있게 해준 후원기업과 후원자께 많은 감사의 말을 드립니다. (포럼참여기업에서 많은 후원을 해주셨습니다.^^) 플래티넘 스폰서: 가이아쓰리디(주), (주)지앤티솔루션, 국립공원관리공단 골드 스폰서: (주)선운이앤지, (주)엔지스, (주)이쓰리, (주)지오서비스, (주)지오시스템, (주)망고시스템, (주)GIS United, (주)터보소프트 개인 후원: 임상열 감사합니다. Park, Heegu

FOSS4G Korea 2014 발표자 모집합니다.

이미지
안녕하세요? 우선 Global FOSS4G 2015 서울 개최가 확정( http://www.osgeo.kr/164 ) 되었습니다. 다 함께 노력해서 성공적으로 행사를 개최했으면 좋겠습니다. Global FOSS4G와 별개로 매년 2배씩 행사 참가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우리나라 행사 FOSS4G Korea 2014가 8월 26일(화) ~ 8월 27일(수) 2일 동안 개최 됩니다. 이에 8월 27일(안) 본 행사(COEX) 구두 발표 세션에서 발표를 하실 분들을 모집 합니다. FOSS4G Korea는 OSGeo 한국어 지부가 매년 개최하는 Open Source GIS 관련 최대 행사이자 축제입니다. 참가자들은 FOSS4G Korea 행사를 통해 Open Source GIS와 관련된 지식, 경험, 노하우 등을 공유할 수 있으며, 개인이나 회사의 역량을 대중적으로 뽐낼 수 있는 기회로 삼으실 수도 있습니다. 역대 FOSS4G Korea 행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는 다음에서 살펴 보실 수 있으며, 발표자료 및 동영상은 발표자의 동의하에 공개됩니다.  - 2011년 약 40 ~ 50명 참가 : http://www.osgeo.kr/3  - 2012년 약 70 ~ 80명 참가 : http://www.osgeo.kr/84  - 2013년 약 140여명   참가 : http://www.osgeo.kr/144 ○ 발표 주제 제출 마감일 : 8월 6일(수) ○ 주제 : Open Source GIS와 관련된 모든 것(기술,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 프로젝트 등등) ○ 제출 방식 : 제목, 저자, 그리고 발표 내용 요약(100 단어 정도)을 아래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FOSS4G Korea 2014 8월 27일 오후 프로그램]에  직접 등록하시거나,  OSGeo 메일링 리스트 또는 mapplus @ gmail.com 으로 보내 주셔도 됩니다.     - https:...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 모집공고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을 선도할 핵심인재(석·박사) 양성을 위해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 지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모집 공고합니다.   2014년 5월 30일 (재)공간정보산업진흥원 이사장   1. 사업목적   ◦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은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에 필요한 공간정보기술과 창의력을 겸비한 핵심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2. 지정개요   ◦ 지정 규모 : 00개 대학원   ◦ 신청자격 : 공간정보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① 공간정보 원천 기술 및 신기술 분야, ② 융복합 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 분야를 위한 특성화교육이 가능한 대학원 -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에 필요한 교육을 위하여 전 체 교과과정 중 공간정보 특성화교과목을 25%이상 편성하고, 매 학기 1과목 이상 개설이 가능한 대학원   - 신청단위는 학과 또는 협동과정 단위로 참여하여야 하며, 사업 총괄책임자는 해당 신청단위의 전임교수 중 조교수 이상 3. 지원내용   ◦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사업에 의해 선발된 일반장학생 및 산업체 장학생이 특성화대학원에 재학 또는 입학하는 경우 학교지원금을 지원  대상 구분 항목 지원내역 비고 특성화 대학원 일반장학생 학교지원금 300만원 장학생 1인, 1년 지원 기준 산업체 장학생 학교지원금 500만원 장학생 일반장학생 등록금 700만원이내 연구비 200만원 산업체 장학생 등록금 700만원이내 4. 신청방법 및 기간   제출서류 공문 1부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신청서(소정양식) 1부 교육계획서(소정양식) 1부 교육계획서의 증빙서류...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2014년도 장학생 선발 예비공고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을 선도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2014년도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의 석·박사 장학생 선발을 다음과 같이 예비 공고합니다.     2014년 4월 10일 (재)공간정보산업진흥원 이사장     1. 사업 목적   ◦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석·박사 장학생 선발은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에 필요한 공간정보기술과 창의력을 겸비한 핵심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2. 선발 대상   ◦ 일반장학생 -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의 당해연도 석·박사 과정 신입생(정규 1학기 재학생) 또는 진학 희망자 ◦ 산업체 장학생   - 산업분야를 불문하고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산업체 재직자로서 산업체 대표자의 추천서를 받은 공간정보 융복합 특성화대학원의 당해연도 석·박사 과정 신입생(정규 1학기 재학생) 또는 진학 희망자 3. 지원내용   ◦ 지원기간 : 2년 원칙(박사과정의 경우 1년 연장 가능)   대상 구분 항목 지원내역 비고 장학생 일반장학생 등록금 700만원이내 장학생 1인, 1년 지원 기준 연구비 200만원 산업체 장학생 등록금 700만원이내 특성화 대학원 일반장학생 학교지원금 300만원 산업체 장학생 학교지원금 500만원 4. 신청방법 및 기간 제출서류 공간정보 장학생 신청서(소정양식) 1부 연구계획서(소정양식) 1부 연구계획서의 증빙서류 일체 각 1부 특성화대학원 사업책임자 추천서(소정양식) 1부 산업체 대표자 추천서(소정양식) 1부(해당자) 개인정보동의서(소정양식) 1부 CD 1매(상기 신청서류 일체) ...

[QGIS] "Raster Pixel Count By ClassBreak" Plugin...

이미지
예전에 osgeo-kr 메일링 리스트에서 문의된 "QGIS를 이용한 경사분석"과 관련하여 간단한 플러그인을 만든적이 있습니다. DEM 자료를 사용하여 경사도 Raster를 만들고, 생성한 경사도 Raster에서 10도 간격별 면적을 확인하고자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때 임시로 만든 플러그인을 조금 다듬어 QGIS Plugins 공식 저장소( http://plugins.qgis.org/)에 등록하여 승인을 받았습니다. UI적인 면에서 많이 부족하여 "Experimental"로 등록 하였습니다. ▣ Plugin 설명  -  "Raster Pixel Count By ClassBreak" 플러그인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택한 Raster 레이어의 기본정보 (총 Pixel 개수, Min, Max, Sum, Mean, StdDev, NoData Value, Pixel Size) 출력  - 사용자가 입력한 급간에 속하는 Pixel의 개수, 면적(Pixel count * PixelSize X *  PixelSize Y)을 출력  - NoData의 개수 및 면적 출력  - Raster 데이터에 대한 간단한 통계분석에 활용될 수 있음 ▣ Plugin 설치  - QGIS Plugins > Manage and install plugins  -  Settings 탭에서 "Show also experimental plugins" 체크  - Get more 탭에서 "raster pixel"로 검색  - Plugin 목록에 "Raster Pixel Count By ClassBreak" 선택  - Install plugin 버튼을 선택하여 플러그인 설치 ▣ Plugin 활용  - 설치가 완료되면 Plugins > Statistics Raster Pixel Count By ClassBreak > Ras...

[uDig:experimental] With Driving Distance Enabled (pgRouting 2.0 )

이미지
pgRouting으로 Network Service Area와 비슷한 일을 하게 될거 같아 먼저 uDig을 활용하여 기능을 검토해 보았습니다. 아직 GXT Toolbox에 등록되지 않은 실험적인 도구 입니다. ▣ pgRouting 2.0 - http://pgrouting.org/ ▣ pgRouting 2.0 Manual -  http://docs.pgrouting.org/2.0/en/pgRoutingDocumentation.pdf ▣ Routing Topology -  pgr_createTopology fuction을 이용하여  Topology생성 - 위 함수를 사용하기전에 도로 라인 데이터에  source, target  필드를 추가해 놓으면  pgr_createTopology 가 실행될 때 vertex 테이블(도로데이터명칭 _vertices_pgr )이 생성되고 vertex ID가 추가됨 - 기타 도로의 length, time 등에 대한 값은 쿼리를 사용하여 계산 ▣  pgr_drivingDistance <툴박스 UI> - pgRouting을 사용하기 위해 우선 PostGI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 - edge table(도로)의 명칭과 기본적인 필드 정보 입력(ID, Source vertex ID, Target vertex ID, Cost) - vertex table(노드)의 명칭 입력 - 출발지점으로 사용할 레이어 선택 - Cost값 입력 (comma로 여러개의 값을 구분하여 사용) - 분석결과 Shapefile 저장 경로 설정 ▣ Result - 시작위치로 지정한 레이어의 모든 포인트 위치로 부터 cost값으로 설정한 300m, 600m, 900m, 1200m, 1500m 거리에 도달 가능한 Network Area를 Polygon으로 생성하여 Shapefile로 저장 - Cost로 시간을 선택하고 도로 데이터에 통행시간 필...

Wind Rose Map using GXT, uDig GIS

이미지
[uDig] Create Wind Rose Map using Geotools, uDig 얼마전 MapPlus님의 QGIS RingMap 스크립트를 보고 저희 회사 분석 엔진인 GXT에 RingMap을 개발해서 배포했습니다. 그런데 MapPlus님이 저에게 살짝 Wind Rose Map을 보여주더군요. djWjfkrh!! ▣ Reference  -  biz-gis  : http://www.biz-gis.com/index.php?document_srl=107186&mid=GIS_Essay  -  http://nebraskawindandsolar.com/green-info/wind-rose/    ▣ uDig Plugin 저장소  - http://www.mangosystem.com:8080/gxt_updates ▣ Sample Dataset  - Dataset : https://www.dropbox.com/s/u95exijhoxgb2is/sample_data.zip ▣ Usage  - uDig 실행 -> Window -> Show View -> GXT Toolbox 선택 - 다운로드한 샘플 데이터중 서울시 은행,아파트 포인트 데이터를 새로운 지도에 추가   (WindRose의 경우 도선관,백화점 위치와 해당 기관의 사용자 위치등을 분석하여 그 방향성과 사용자의 수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는게 원칙이나 데이터를 구하기가 힘들어 레이어의 센터점으로 잡아 분석함) - GXT Toolbox에서 Vector Analysis > General > Wind Rose 선택 Input Vector Layer : 분석 대상이되는 Point Layer를 선택 Field to apply the weight(선택) : 필수 입력값은 아니지만 갯수에 가중치를 ...

[experimental] Mango Base Maps for Analytics

이미지
부제: Open Data, Open Source GIS 만으로 분석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배경지도 제작하기 ▣ 배경 2013년 아니 그 전부터 포털 지도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 중 하나는 우리 회사가 주로 하는 공간분석 결과(래스터, 영역 기반의 주제도 등)를 중첩할 때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 지금 아니면 영원히 못할 것 같아 오래 전부터 생각해 왔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달 전부터 데이터 수집, 처리, 데이터베이스 등록 등등 작업을 수행했으며, 이제 겨우 데이터 처리를 완료함. ▣ 현재까지 작업 내용  - Gray 및 Color(Mango System 스타일) 스타일 2 종류 제공  - 배경지도와 레이블 지도를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지도(래스터, 폴리곤 등)의 시각화 향상에 중점  - 전세계 DEM(SRTM 90m 및 ASTER GDEM 30m), 국내 새주소, 국가공간정보유통센터, 교통데이터, 공간정보오픈플랫폼, 서울시 등 공개된 데이터 및 자체 수집 POI만으로 구성  - 대한민국, 북한을 완전히 포함한 한반도 주변 1(5) ~ 18 레벨로 구성  - 원 자료의 편집을 최소화하여 유지/갱신이 가능할 수 있는 체계 구성  - 데이터 처리는 GDAL/OGR, QGIS, uDig, Python Script 등 오픈 소스 GIS만으로 작업  - 좌표체계는 OpenStreetMap 등 공개된 지도 데이터와의 호환을 위해 EPSG:3857 사용  - OSGeo TMS 준수 ▣ 향후 일정  - 스타일, 드로잉 순서 등 보완  - POI 분류 및 분석 지도에 적합한 주제도 수집 및 적용  - 레이블링 지도 상세화  - 부분갱신 체계 도입 예정 - 구상중 ▣ Maps 부산광역시 주변 대구광역시 주변 대전광역시 주변 인천광역시 주변 OSM과 국내 공간 데이터 혼합 - Level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