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14의 게시물 표시

Wind Rose Map using GXT, uDig GIS

이미지
[uDig] Create Wind Rose Map using Geotools, uDig 얼마전 MapPlus님의 QGIS RingMap 스크립트를 보고 저희 회사 분석 엔진인 GXT에 RingMap을 개발해서 배포했습니다. 그런데 MapPlus님이 저에게 살짝 Wind Rose Map을 보여주더군요. djWjfkrh!! ▣ Reference  -  biz-gis  : http://www.biz-gis.com/index.php?document_srl=107186&mid=GIS_Essay  -  http://nebraskawindandsolar.com/green-info/wind-rose/    ▣ uDig Plugin 저장소  - http://www.mangosystem.com:8080/gxt_updates ▣ Sample Dataset  - Dataset : https://www.dropbox.com/s/u95exijhoxgb2is/sample_data.zip ▣ Usage  - uDig 실행 -> Window -> Show View -> GXT Toolbox 선택 - 다운로드한 샘플 데이터중 서울시 은행,아파트 포인트 데이터를 새로운 지도에 추가   (WindRose의 경우 도선관,백화점 위치와 해당 기관의 사용자 위치등을 분석하여 그 방향성과 사용자의 수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는게 원칙이나 데이터를 구하기가 힘들어 레이어의 센터점으로 잡아 분석함) - GXT Toolbox에서 Vector Analysis > General > Wind Rose 선택 Input Vector Layer : 분석 대상이되는 Point Layer를 선택 Field to apply the weight(선택) : 필수 입력값은 아니지만 갯수에 가중치를 ...

[experimental] Mango Base Maps for Analytics

이미지
부제: Open Data, Open Source GIS 만으로 분석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배경지도 제작하기 ▣ 배경 2013년 아니 그 전부터 포털 지도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 중 하나는 우리 회사가 주로 하는 공간분석 결과(래스터, 영역 기반의 주제도 등)를 중첩할 때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 지금 아니면 영원히 못할 것 같아 오래 전부터 생각해 왔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달 전부터 데이터 수집, 처리, 데이터베이스 등록 등등 작업을 수행했으며, 이제 겨우 데이터 처리를 완료함. ▣ 현재까지 작업 내용  - Gray 및 Color(Mango System 스타일) 스타일 2 종류 제공  - 배경지도와 레이블 지도를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지도(래스터, 폴리곤 등)의 시각화 향상에 중점  - 전세계 DEM(SRTM 90m 및 ASTER GDEM 30m), 국내 새주소, 국가공간정보유통센터, 교통데이터, 공간정보오픈플랫폼, 서울시 등 공개된 데이터 및 자체 수집 POI만으로 구성  - 대한민국, 북한을 완전히 포함한 한반도 주변 1(5) ~ 18 레벨로 구성  - 원 자료의 편집을 최소화하여 유지/갱신이 가능할 수 있는 체계 구성  - 데이터 처리는 GDAL/OGR, QGIS, uDig, Python Script 등 오픈 소스 GIS만으로 작업  - 좌표체계는 OpenStreetMap 등 공개된 지도 데이터와의 호환을 위해 EPSG:3857 사용  - OSGeo TMS 준수 ▣ 향후 일정  - 스타일, 드로잉 순서 등 보완  - POI 분류 및 분석 지도에 적합한 주제도 수집 및 적용  - 레이블링 지도 상세화  - 부분갱신 체계 도입 예정 - 구상중 ▣ Maps 부산광역시 주변 대구광역시 주변 대전광역시 주변 인천광역시 주변 OSM과 국내 공간 데이터 혼합 - Level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