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0의 게시물 표시

Spatial DBMS 및 Spatial Engine 모음

이미지
Spatial Data Type을 지원하는 DBMS 및 Spatial Engine들입니다. 빠진 제품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1. Commercial Spatial DBMS ▣ 국내 Commercial DBMS - 리얼타임테크 (RealTimeTech) - Kairos Spatial - 알티베이스 - ALTIBASE Spatial - 지오매니아(GEOMania) - GMS 4G - 리지시스( Reegy Sys) - ZEUS - 티맥스소프트(TmaxSoft) - Tibero ▣ 해외 Commercial DBMS - Oracle Spatial | Oracle Database - Microsoft SQL Server - IBM DB2 Spatial Extender - IBM Informix Spatial DataBlade - Sybase SQL AnyWhere ▣ Free and Open Source Spatial DBMS - PostgreSQL - PostGIS - MySQL - Spatial Extensions  + MySQL Korea - SpatiaLite - SQLite Spatial extension 2. Spatial Engine(SE) 일반적으로 Spatial Engine(공간 미들웨어라고도 함)은 이기종 DBMS를 지원하며, DBMS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국내 Commercial SE - 엘비에스플러스(LBSPLUS) - Gnis Spatial Engine(GSE) - 지노시스템(G-Inno Systems) - GeoGate ▣ 해외 Commercial SE - ESRI ArcGIS Server - ArcSDE + 선도 소프트(SundoSoft) 3. GIS(Spatial + Web) Server Enterprise급에서부터 일반 Web Mapping Server까지 포함했습니다. 분류가 쉽지가 않습니다. ▣ 국내 Comme...

[GIS]국가GIS 교육센터 소개

이미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국가 GIS 교육센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GIS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나 이미 접하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1. 소개 국가 GIS 교육센터 는 공간정보 전문인력 양상사업의 일환으로 국토해양부의 지원을 받아 국토연구원의 GIS 중앙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GIS 교육사이트입니다. 또한, GIS 교육 거점대학, 공간정보분야 특성화대학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공간정보 전문인력양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운영조직 ▣ 공간정보분야 특성화대학원   - 경북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인하대학교 ▣ GIS교육 거점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경일대학교, 교원대학교, 대구과학대학, 동강대학교, 목포대학교,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 전남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3. 온라인 강좌 온라인 강좌는 이론, 정책, 실습, 신기술, 활용사례, 기타 로 구분됩니다. 사이트 가입을 하면 온라인 강좌는 모두 수강할 수 있습니다. ▣ 이론 ○ GIS:  GIS 개론 -> 수치지도의 이해 -> 지도와 좌표계 -> GIS 공간모델링, 수치지도제작, 지하시설물도 제작, GIS 공간분석(초급) -> GIS 공간분석(중급), 지리정보 검수, GIS 표준(초급) -> GIS 표준(중급), 공간철학과 GIS ○ RS:  원격탐사(초급) -> 원격탐사(중급) ○ 측량:  사진측량, 수치사진측량, 공간위치결정론, GPS 개념 및 활용 기타:  DB 이용관리 ▣ 정책 ○ GIS:  1, 2차 국가GIS 기본계획, 제3차 국가GIS 기본계획 ▣ 실습 ○ GIS:  ArcGIS(초급) -> ArcGIS(중급), ZEUS, GRASS(초급) -> GRASS(중급), GeoMania/EasyMap, ArcSDE, GeoDataBase ○ ...

[OGC]표준을 따른다는 것

이미지
요즘 국가지리정보나 민간에서 OGC 표준에 기반한 서비스 및 응용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가만히 지켜보고 있으면 OGC 표준 웹 서비스와 Open API 등과 혼용하여 각자 나름대로 판단하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고 안타깝다... 오늘의 핵심 내용은 아래 기사와 유사하다. 껍데기만 바꾼다고 되는 건 아니다. 다음의 기사를 한번 보도록 하자 안 철수 "디자인·UI 베낀다고 아이폰 못 따라가"  - 디자인을 베끼거나 UI를 비슷하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표준을 준수한다는 의미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표준 프로파일링에 대한 개념 ▣ 표준화(Standardization) 실질적이거나 잠재적인 문제에 관하여 최적의 목적달성을 위해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규범적 표현(provision)을 구축하는 활동이며 이러한 활동은 주로 표준을 이슈화하고 구현하고 형식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 표준(Standard) 표준화의 주체 및 참여기구로부터 합의되고(consensus) 승인된 문서로서 커뮤니티의 목적을 최대로 달성함을 목표로 공통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활동과 결과에 대한 규칙, 가이드라인, 특징 등을 제공하며 표준화 적용 커뮤니티의 최대의 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과학과 기술 및 경험의 통합된 결과에 기초하여야 한다. ▣ 기반표준  프로파일을 구성하고 생성하기 위해 원천자료(source)가 되는 표준이며 지리정보분야에서는 ISO의 TC211에서 개발중인 19100 시리즈 표준문서와 OGC의 Abstract  Specification과 Implementation Specification으로 국가표준개발을 위한 기반표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프로파일  특정 커뮤니티의 특정 기능을 위해 필요한 모듈과 인자(parameter), 선택사양(optional)을 규정한 하나 이상의 기반표준 또는 ISP의 선택적 집합으로 참조가 되는 기반표준이 있어야 한다. ▣ ISP(International Standardized P...

이 기사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미지
아래 기사를 한번 보세요... 기존 국가공간지리정보유통망 을 통합하고 국가공간정보 유통망을 통해 Open API 방식으로 국가(지적, 수치지도, 각종 주제도 등) 및 민간 공간정보(POI, 주제도, 내비게이션, 맛집, 학술연구지도 등)를 서비스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내용입니다.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체계 역시 행정중심이긴 하지만 사업목표가 유사합니다. 의도는 알겠으나 기사대로 아래 4. 외국사례를 잘 벤치마킹 해서 진행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모두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 표준 웹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공유, 대시민, 민간참여를 가능케 하는 기본이라는 것을... 여기에 오신 분들은 반드시 아래 외국 사례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대한민국 정책포털-공감코리아 : 공간정보서비스 맞춤형으로 탈바꿈한다(2010.03.26)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지난해 감사원의 권고에 따라 6개월간 서울대 등 전문기관에 의뢰한 용역결과를 토대로 현재 서울, 부산, 제주 등 9개 지역별로 분산·운영중인 지리정보유통망 을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도록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Open API를 활용하여 자료제공 방식을 다양화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도 도입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계획이다. 그리고 민간에서 만든 공간정보도 국가유통망을 통하여 유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방할 방침이며, 공간정보의 무상제공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관련기관과 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다.  중략....... 또한 구글, MS 등 외국 대형 포털의 공간정보 서비스와 경쟁이 가능하여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도 예상된다. 중략.... 첨부파일 : 100327(조 간) 공간정보 유통망(국가공간정보센터).hwp   100327(붙 임) 공간정보 서비스.ppt   2. 전자신문 : 국토부, '한국판 구글 어스' 만든다(2010-0...

[참고]소프트웨어사업대가의 기준(2009 ~ 2011)

이미지
제안시즌이 오면 항상 찾게 되는 것! 2009년부터 현재까지 적용될 소프트웨어 사업대가의 기준 및 SW 기술자 노임단가입니다.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소프트웨어사업대가의 기준 ▣  2011년도 적용 SW기술자 노임단가 공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6조(SW기술자의 등급별 노임단가)의 규정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기준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기술자 일 노임단가를 통계법 제23조에 의거 다음과 같이 공표합니다. 구 분 2011 년 노임단가 전년대비 조사인원 2009 년도 2010 년도 2011 년도 증가액 기술사 313 356,999 358,777 369,995 11,218 특급기술자 9,736 314,773 333,226 340,973 7,747 고급기술자 8,266 228,833 239,085 251,772 12,687 중급기술자 10,305 190,248 188,139 208,943 20,804 초급기술자 14,932 141,761 146,620 162,862 16,242 고급기능사 420 126,106 140,918 138,613 -2,305 중급기능사 640 109,777 110,637 107,288 -3,349 초급기능사 530 86,961 90,599 93,12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