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10의 게시물 표시

Live train map

이미지
OpenAPI와 구글맵의 Mashup 사이트입니다. 그냥 보시면 되고 설명은 패스~~~~~~ ▣ Live train map for the London Underground - http://traintimes.org.uk:81/map/tube/ ▣  Live train map for the Swiss  - http://www.swisstrains.ch/

[OpenStreetMap]Isometric 3D Map

이미지
OpenStreetMap data를 이용한 체코의 isometric 3D map 사이트입니다. 클라이언트는 OpenLayers 를 사용했군요. ▣ 사이트 http://osm.kyblsoft.cz/3dmapa/?zoom=17&lat=75.75078&lon=14.31372&layers=B ▣ 간략소개 For generating images is used POV-Ray renderer, for converting OSM data to POV-Ray format is used my own application. This map is continuously regenerated from new data. Average age of one tile is about one week. Generating map is simple loop: Query server with 3D map, which tile is best candidate to regenerate (zoom 12) Generate OSM file with tile coutout, via Osmosis (data are from night snapshots of Czech Rep .) Convert OSM file to POV file, via my own application osm2pov Generate big PNG file by POV-Ray (zoom 17) Upload file to 3D map server, crop to smaller tiles and generate other zooms go to step 1 ▣ 미리보기

SpatiaLite 개요 및 사용

이미지
PostgreSQL 에 PostGIS 가 있다면 SQLite 에는 SpatiaLite 가 있습니다. PostGIS와 마찬가지로 Geometry Engine은 GEOS(3.2.0), 좌표변환은 PROJ.4(4.7.0)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ostGIS보다 경량이면서 속도면에서는 빠르군요.. PostGIS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 같네요 . 단, PG와는 Spatial Function 이름들이 약간씩 다릅니다.(ST_가 없으나 2.4버전 이후로는 OGC ST_ 이름을 지원합니다). 라이센서는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다릅니다. ▣ SpatiaLite 공식 사이트  - http://www.gaia-gis.it/spatialite/  - 2010년 6월 30일 현재 버전 2.4.0 ▣ 주요 기능  *  SQLite is a popular DBMS, simple, robust, easy to use and really lightweight   * each SQLite database is simply a file; you can freely copy it, compress it, send it on a LAN or WEB with no complication at all  They are also portables; the same database file will work on Windows, Linux, MacOs etc  * the SpatiaLite extension enables SQLite to support spatial data too [aka GEOMETRY], in a way conformant to OpenGis specifications    o supports standard WKT and WKB formats    o implements SQL spatial functions such as AsText(), Geom...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의 목록 및 기능을 잘 정리해 둔 사이트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곳인듯 합니다. 사이트는 여기.. An Overview of Free & Open Source Desktop GIS (FOS-GIS)

SQLite 개요 및 사용

이미지
SQLite는 단일 파일 기반이면서 SQL92를 지원하는 경량의 DB ▣ SQLite 공식사이트  - http://www.sqlite.org  - 버전 : 2010년 6월 30일 현재 3.6.23.1 ▣ Features Of SQLite  * Transactions are atomic, consistent, isolated, and durable ( ACID ) even after system crashes and power failures.   * Zero-configuration - no setup or administration needed.  * Implements most of SQL92. (Features not supported)  * A complete database is stored in a single cross-platform disk file.  * Supports terabyte-sized databases and gigabyte-sized strings and blobs. (See limits.html.)  * Small code footprint: less than 300KiB fully configured or less than 180KiB with optional features omitted.  * Faster than popular client/server database engines for most common operations.  * Simple, easy to use API.  * Written in ANSI-C. TCL bindings included. Bindings for dozens of other languages available separately.  * Well-commented source code with 100% branch test coverage.  * Available...

[Windows 7]Error 1935

이미지
윈도우즈 7을 설치하고 Tortoise SVN, PostgreSQL, ITunes 등의 프로그램 설치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 후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더군요... 인터넷에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었는데 거의 다 저에겐 해당사항 없음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어느 사이트에서 팁을 발견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NET Framework 3.5 서비스 팩 설치 □ 오류내용 - Microsoft.VC80, 또는 Microsoft.VC90 재패포 패키지 설치 중 나타나는 현상 'Error 1935.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assembly. Microsoft.VC80.ATL.type="win32".version="8050727.7 62"."publicKeyToken"="1fc8b3b9a1e18e3b".processorA rchitecture="X86"'. □ 해결방법 1. .NET Framework 3.5 서비스팩 설치  - Microsoft .NET Framework 3.5 Service pack 1 (Full Package) - 한국어 2. 이제 오류 내용에 따라 Microsoft Visual C++ 2005, 2008 재배포 가능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Microsoft Visual C++ 2005 재배포 가능 패키지  - Microsoft Visual C++ 2008 SP1 재배포 가능 패키지

[지진지도]국내 및 국외 주요 지진발생 현황

이미지
2010년 6월 20일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내 및 국외 지진발생 현황을 Shapefile로 변환한 자료입니다. 첨부한 자료는 맘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자료로만 본다면 지진발생현황도 계속 증가추세이고 휴화산 상태인 백두산이 앞으로 4~5년 뒤 대규모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 도 나오고 있어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는 아닌것 같습니다. ▣ 자료출처  - 기상청 지진/지진해일  - 국내 자료는 78년 이후 일어난 모든 지진을 기록한 것 같은데, 국외 자료는 1987년 이후부터 주요 지진만 제공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 점 참고하세요. ▣ 기간  - 국내: 1978년 ~ 2010년 6월 20일 현재  - 국외: 1987년 ~ 2010년 6월 20일 현재 ▣ 자료: Shapfile format  - 저장구조: Shapefile format  - 필드구성: 지역구분, 진원시, 규모, 경도, 위도, 위치, 갱신일  - 좌표체계: WGS1984 경위도 Earthquake_20100620.zip ▣  USGS에서 제공하는 지진정보  - USGS Latest Earthquakes in the World - Past 7 days  - Earthquake Density Maps for the World  - 이곳에서는 KML 포맷으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국내 지진발생 추이 - 1978년도부터 2008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3이상 지진정보를 나타낸 그래프 <출처: 기상청 http://www.kma.go.kr/images/weather/earthquake/img_domestictrend_graph.gif> ▣ 국내 지진발생 현황 ▣ 국내 지진발생 현황(규모 4.5 이상) ▣ 국내 + 국외 지진발생 현황(규모 5.0 이상)

4대강 사업 : 보 및 저수지 경위도 좌표

이미지
4대강 사업 관련하여 보 및 저수지 위치 및 좌표( WGS84 경위도) 입니다. 혹 필요하신 분들 사용하세요... 아래 표에서 보 및 저수지 이름을 클릭하면 구글지도로 이동합니다. ▣ 보 수계 보이름 코드 위치 경도 위도 한강 강천보 1007601 경기 여주군 여주읍 신진리 127.684629 37.27910681 한강 여주보 1007602 경기 여주군 능서면 백석리 127.6165009 37.32102826 한강 이포보 1007603 경기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 127.5384164 37.4087895 낙동강 상주보 2007601 경북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128.25315 36.43433476 낙동강 낙단보 2009601 경북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 128.2979107 36.35641999 낙동강 구미보 2009602 경북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 128.3521557 36.22800414 낙동강 칠곡보 2011601 경북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 128.3924532 35.9973131 낙동강 강정보 2011602 경북 고령군 다산면 호촌리 128.4603453 35.84067299 낙동강 달성보 2014601 대구시 달성군 논공읍 하리 128.4229231 35.73069764 낙동강 합천보 2014602 경남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128.3568764 35.59485546 낙동강 함안보 2017601 경남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 128.5392666 35.38604109 금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