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 또는 Terrain 데이터 생성 고려사항
수치표고자료(DEM)을 구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TIN을 구축 후 래스터(DEM)로 변환한다. 지난 시간에 이어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기로 한다. ArcGIS의 경우 TIN을 구축하여 래스터로 변환할 수도 있지만 GeoDatabase(File GeoDatabase, SDE 등)를 사용할 경우 Terrain 데이터셋을 사용하면 데이터 편집 및 유지관리에 있어 효율적이다. 1. 들어가기 전에 Terrain 데이터셋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Multi-Resolution TIN이다. Terrain 데이터셋은 지오데이터베이스 내의 피쳐로 저장된 측정데이터로부터 구축, 관리된다. - 지오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셋 저장구조 -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TIN 데이터 구조 사용 - 다중 해상도를 표현하기 위해 피라미드를 사용 -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차에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구축관점에서 TIN 및 Terrain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2. Surface feature type (SFType) 피쳐클래스(Feature Class)는 Terrain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소스를 제공한다. Terrain 데이터셋 설계시 각각의 데이터 소스( 피쳐 클래스) 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역할을 Surface Feature Type(SFType)이라 부른다. 여기에는 Mass Points, Breaklines, Polygon 유형이 있다. Breaklines 과 Polygon 은 Hard 및 Soft 조건이 있다. Soft는 지형을 완만(smoothly)하게, Hard는 급격하게(discontinuity) 표현한다. 포인트와 멀티포인트 피쳐클래스는 Mass Points로 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라인과 폴리곤은 다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Breaklines - Clip polygons - Erase poly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