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10의 게시물 표시

TIN 또는 Terrain 데이터 생성 고려사항

이미지
수치표고자료(DEM)을 구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TIN을 구축 후 래스터(DEM)로 변환한다. 지난 시간에 이어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기로 한다. ArcGIS의 경우 TIN을 구축하여 래스터로 변환할 수도 있지만 GeoDatabase(File GeoDatabase, SDE 등)를 사용할 경우 Terrain 데이터셋을 사용하면 데이터 편집 및 유지관리에 있어 효율적이다. 1. 들어가기 전에 Terrain 데이터셋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Multi-Resolution TIN이다. Terrain 데이터셋은 지오데이터베이스 내의 피쳐로 저장된 측정데이터로부터 구축, 관리된다.  - 지오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셋 저장구조  -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TIN 데이터 구조 사용  - 다중 해상도를 표현하기 위해 피라미드를 사용  -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차에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구축관점에서 TIN 및 Terrain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2. Surface feature type (SFType) 피쳐클래스(Feature Class)는 Terrain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소스를 제공한다. Terrain 데이터셋 설계시 각각의 데이터 소스( 피쳐 클래스) 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 역할을 Surface Feature Type(SFType)이라 부른다. 여기에는 Mass Points, Breaklines, Polygon 유형이 있다. Breaklines 과 Polygon 은 Hard 및 Soft 조건이 있다. Soft는 지형을 완만(smoothly)하게, Hard는 급격하게(discontinuity) 표현한다. 포인트와 멀티포인트 피쳐클래스는 Mass Points로 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라인과 폴리곤은 다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Breaklines   - Clip polygons   - Erase polyg...

수치표고자료(DEM)의 개념 및 구축지침

이미지
GIS 관련 카페나 커뮤니티를 보면 GIS 분야에서 등고선을 이용하여 TIN을 구축하고 DEM을 추출하여 여러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TIN 구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GIS 툴이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며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몇 차에 걸쳐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살펴볼까 한다. 여기에서는 첫번째로 3차원 지형 시각화의 기초가 되는 수치표고자료에 대한 개념 및 수치표고자료 구축을 위해 기본적으로 참고해야 할 국내 규정 등을 알아보기로 하자. 특히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자료를 필히 확인하고, 수치지도의 레이어도 한번씩 살펴보자. 등고선 TIN Edge TIN Visualization DEM Hillshade Slope Aspect ① 수치표고자료의 개념 ▣ DEM(Digital Elevation Models)  수치표고모형은 수치 지형 또는 수심측량 데이터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로써 DEM(Digital Elevation Models)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DEM은 식생과 인공지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형만의 표고값을 의미하며, 강/호수의 DEM 높이값은 수표면을 나타낸다. ▣ DTM(Digital Terrain Model)  DE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며, DEM과 비슷하지만 지형을 좀더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간격을 갖는 불연속선(breakline)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르다. DTM의 최종적인 결과는 특정 지형을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며, 등고선은 지형의 실제 형태에 가깝도록 DTM으로부터 생성하곤 한다. ▣ DSM(Digital Surface Model)  DSM 은 DEM, DT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지표면의 표고값이 아니라 인공지물(건물 등)과 지형지물(식생 등)의 표고 값을 나타내며 원거리통신관리, 산림관리, 3D 시...

[ArcObjects]다양한 Geometry 버퍼(Buffer) 연산들

벡터 공간정보의 근린연산(proximity analysis)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Geometry에 대한 Buffer 연산이 필수적이다. 버퍼 연산을 이용하여 공간상에서 주어진 지점과 주변객체들의 탐색 및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지난 시간의 Geometry Union에 이어 Geometry의 Buffer 연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Geometry의 버퍼연산은 다음 그림을 통해 이해하도록 하자. <div class="imageblock center"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img src="http://ss.textcube.com/blog/3/30800/attach/XF9bszzWtp.png"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