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추정이란 기존에 알고 있는 지점이나 지역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지점이나 지역의 속성값을 추정하는 것으로 공간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에 의해 수행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경계선을 이용한 공간추정기법 중 Thiessen Polygon(Voronoi Region, Proximal Polygon이라고도 불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Thiessen Polygon은 속성값이 알려진 이차원의 공간에서 특정 지점과 가장 인접한지점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특정지점에 대한 속성값을 추정합니다.
▣ ArcGIS Thiessen Polygon ArcGIS에서는 ArcToolbox --> Analysis Tools --> Proximity --> Create Thiessen Polygons 툴을 사용하여 Thiessen 폴리곤을 생성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 Input Features의 Extent를 기준으로 하며 이 Extent의 20%를 확장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만약 연구지역이 이보다 더 클 경우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ArcToolBox에서 생성한 Thiessen 폴리곤 및 ArcObjects ITinEdit, ITinNode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확장한 샘플을 비교한 이미지이며, Customizing 코드는 아래에 있습니다.
▣ ArcGIS Thiessen Polygon vs Custom Thiessen Polygon
▣ ArcObjects Code 예 다음 샘플 코드는 ArcObjects의 ITinEdit, ITinNode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Thiessen 폴리곤을 만드는 샘플입니다. 샘플 코드는 사용자에 목적에 맞게 수정되어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김형준 - 2010/02/03 02:48 저도 3주 전에 지윤과장 만났었습니다. 2006년 프로젝트 멤버들 모여서 살아가는 얘기들을 많이 나누었네요.. 조만간 지윤과장이랑 함께 좋은 시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방문객 수가 늘었다 싶었더니 형준님 블로그에 제 블로그 링크가 걸렸네요....감사합니다.
QGIS에서 DXF 파일을 불러올 때 한글이 포함된 텍스트(TEXT) 또는 레이어(LAYER)를 변환하면서 한글 속성이 깨지는 경우 해결하는 방법이며, 한글 윈도우를 기준으로 함 ESRI Shapefile의 경우 [Layer] --> [Add Vector Layer...] 메뉴 실행 후 다음 그림과 같이 EUC-KR을 선택하면 정상적으로 한글이 처리되지만, DXF 파일의 경우 현재 버전에서는 이 설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QGIS에서 DXF를 불러올 때 GDAL/OG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므로 QGIS 시작할 때 환경설정을 추가하면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1. DXF 파일의 인코딩 확인 일반적으로 DXF 파일은 한글윈도우를 사용하여 CAD에서 저장하는 경우 파일의 헤더에 아래와 같이 $DWGCODEPAGE 속성이 ANSI_949로 저장되는 듯 하다(확인 필요) $DWGCODEPAGE 3 ANSI_949 9 GDAL/OGR 드라이버에서 DXF 파일은 ANSI_1252 / Win1252 인코딩을 기본값으로 사용하며 ,파일 헤더의 $DWGCODEPAGE 속성 또는 GDAL/OGR 드라이버의 DXF_ENCODING 환경설정을 이용하여 인코딩을 설정할 수 있다. 현재 버전의 QGIS에서는DXF 파일의 $DWGCODEPAGE 속성 변경만으로는 정상적으로 한글을 불러올 수 없으며, DXF_ENCODING 전역환경 설정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선 불러오고자 하는 DXF 파일의 인코딩을 확인해야 한다. - Notepad++(http://notepad-plus-plus.org/)를 설치하고 DXF 파일을 불러온다 - 우 하단의 인코딩 타입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 ANSI 인 경우 : EUC-KR 또는 CP949 - ANSI as UTF-8인 경우 : UTF-8 2. 환경설정 QGIS 바로가기 아이콘의 ...
GIS 관련 카페나 커뮤니티를 보면 GIS 분야에서 등고선을 이용하여 TIN을 구축하고 DEM을 추출하여 여러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TIN 구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GIS 툴이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며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앞으로 몇 차에 걸쳐 TIN 구축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살펴볼까 한다. 여기에서는 첫번째로 3차원 지형 시각화의 기초가 되는 수치표고자료에 대한 개념 및 수치표고자료 구축을 위해 기본적으로 참고해야 할 국내 규정 등을 알아보기로 하자. 특히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자료를 필히 확인하고, 수치지도의 레이어도 한번씩 살펴보자. 등고선 TIN Edge TIN Visualization DEM Hillshade Slope Aspect ① 수치표고자료의 개념 ▣ DEM(Digital Elevation Models) 수치표고모형은 수치 지형 또는 수심측량 데이터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로써 DEM(Digital Elevation Models)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DEM은 식생과 인공지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형만의 표고값을 의미하며, 강/호수의 DEM 높이값은 수표면을 나타낸다. ▣ DTM(Digital Terrain Model) DE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며, DEM과 비슷하지만 지형을 좀더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간격을 갖는 불연속선(breakline)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르다. DTM의 최종적인 결과는 특정 지형을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며, 등고선은 지형의 실제 형태에 가깝도록 DTM으로부터 생성하곤 한다. ▣ DSM(Digital Surface Model) DSM 은 DEM, DTM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지표면의 표고값이 아니라 인공지물(건물 등)과 지형지물(식생 등)의 표고 값을 나타내며 원거리통신관리, 산림관리, 3D 시...
저는 이런 공간분석에 대한 글과 그림이 참... 좋습니다.
답글삭제올려진 그림들이 참으로 이쁩니다.
단순한 포인트로 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면 그 분석 결과인 또 다른 멋진 공간에 대한 그림이 나오네요.
에고.. -_-; 헛소릴 좀 했네요.
오늘 김지윤 과장님을 만났습니다.
언제 한번 김지윤 과장님과 함께 만나 저녁에 식사와 커피 한잔 하면 좋겠습니다..
@김형준 - 2010/02/03 02:48
답글삭제저도 3주 전에 지윤과장 만났었습니다. 2006년 프로젝트 멤버들 모여서 살아가는 얘기들을 많이 나누었네요.. 조만간 지윤과장이랑 함께 좋은 시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방문객 수가 늘었다 싶었더니 형준님 블로그에 제 블로그 링크가 걸렸네요....감사합니다.
이제 링크 걸었다고 방문자 수가 늘어난 건 미미할겁니다.
답글삭제국내에서 보기 힘든 좋은 공간분석에 대한 정보가 있어서 찾아오는거겠지요.
저도 여기서 많이 읽어보고 배워 갑니다.
구정 지난 이후에 제가 시간을 맞춰볼께요.
헤헤 제가 아는 두분이 여기 있으니 재밌네요.. 조만간 뭉치져 ㅎㅎ
답글삭제